[스크랩] 朝鮮 後期의 繪畵 傾向과 實學 . 이 글은 『세계화 시대의 실학과 문화예술』 (경기문화재단, 2003 )에 실려 있음. 朝鮮 後期의 繪畵 傾向과 實學 -人物性同論․實事求是․法古創新을 중심으로 李泰浩(明知大學校 人文大學 美術史學科 敎授) <차례> 시작하며 1. 실학과 회화의 관련성을 찾기 위한 변명 2. 人物.. 동 양 미 술 자 료 2013.07.31
[스크랩] 제3차 대한명인 추대자 제3차 대한명인 추대자 | 우리 문화의 뿌리 올곧게 지켜온 문화예술인 47인, 대한명인(大韓名人)으로 선정되다 -(사)대한신문화예술교류회 4월 1일 제3차 대한명인 추대식 개최 ■ 제3차 대한명인 추대자 약력 ■ -대한명인 06-38호 명천 이정훈/세공조각 -대한명인 06-39호 소연당 김복연/전통한복 -대한명.. 동 양 미 술 자 료 2010.10.26
[스크랩] Sirens *Sirens : 그리스. 바다에서 노래를 불러 선원을 유혹한다는 요정들 반은여자. 반은 새 그리스신화의 영웅 오디세우스는 돛대에 온 몸이 묶인 채 바다의 요정 세이렌의 노래를 감미롭게 듣고 있다. 부하들은 아무일 없다는 듯 묵묵히 노를 젓는다. 양쪽 절벽 위에서 세이렌은 달콤한 노래를 계속 부르고 .. 동 양 미 술 자 료 2009.02.09
[스크랩] 동양화의 정수 - 사군자 동양화의 정수 - 사군자 一 浪 李 鍾 祥 요즘 수묵화(水墨畵)와 사군자(四君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사군자를 직접 배우려는 열의도 높다. 참으로 다행한 일이다. 그러나 양(量)이 많아지다 보면 질(質)이 떨어질 수도 있듯이 우려되는 것도 없지 않다. 만약 검정물.. 동 양 미 술 자 료 2009.02.07
[스크랩] 탄은 이정(李霆)의 풍죽도(風竹圖) 바람이 분다 세월의 모진 바람이, 세파의 험한 바람이 분다. 하지만 여기서 꺾일수는 없다. 그냥 힘없이 꺾어지기에는 스스로 쌓아온 자존심이 용남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조선 선비로써 이정도 바람에 굴복한다면 그 여리디 여린, 무능한 나라때문에 고통받은 힘없는 백성은 어찌하란 말인가? 그래.. 동 양 미 술 자 료 2009.02.07
[스크랩] 조선시대 선비의 멋, 사군자 -17- 조선시대 선비의 멋, 사군자 호암미술관에서는 사군자를 주제로한 전시회가 열려, 옛 선비들의 묵향(墨香)을 한껏 음미할 수 있는 유익한 전시회가 열린적이 있었지요. 호암미술관의 소장품을 중심으로 사군자의 의미와 정신을 다시 한 번 되돌아 볼 수 있는 좋은 계기였습니다. 시류에 따라 아니 그.. 동 양 미 술 자 료 2009.02.07
[스크랩] 난초와 국화 치기 난초 치는 요령 익히기 :realImgView('http://cfs2.blog.daum.net/upload_control/download.blog?fhandle=MDZGcmNAZnMy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ODIuanBn&filename=82.jpg')" target=_blank> 1번 선을 그립니다. 힘있는 선을 긋기 위해서 중봉필로 그립니다. 중간 중간 붓을 멈추어 세워 붓털이 탄력을 받게 합니다. (이 부분은 말로 설명하기가 .. 동 양 미 술 자 료 2009.02.07
[스크랩] 조선시대의 사군자 조선시대의 사군자 I.서론 매·난·국·죽 네가지 식물의 총칭인 사군자는 북송시대(960-1124)이후의 동양 회화, 특히 문인화의 소재로 중국과 한국에서 널리 애호되었으며 일본에서도 무로마찌(1336-1573)시대부터 승려 및 문인화가들 의해 자주 채택된 화목이다. 매화는 이른 봄의 추위를 무릅쓰고 눈이 .. 동 양 미 술 자 료 2009.02.07
[스크랩] 위대한 고구려 벽화 위대한 고구려 벽화 고구려 장군총의 전경. 고구려 옛 수도 집안에 있는 장군총은 초기 피라미드형과 아주 유사하다 장천 1호분 전실 서쪽벽을 가득 채웠던 생활풍속도 중국 지안시 장천1호분 벽화 중 전실의 귀부인 나들이 모습. 집안 고구려 고분벽화 장천1고분 삼삭형 천장 받침돌의 모습. 집안 고.. 동 양 미 술 자 료 2009.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