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야희우(春夜喜雨)-두보(杜甫;712-770)
어느 봄밤 반가운 비
好雨知時節(호우지시절) : 좋은 비는 시절을 알고 내리나니
當春乃發生(당춘내발생) : 봄이면 초목이 싹트고 자란다
隨風潛入夜(수풍잠입야) : 봄비는 바람 따라 몰래 밤에 들어
潤物細無聲(윤물세무성) : 가늘게 소리도 없이 만물을 적신다
野徑雲俱黑(야경운구흑) : 들길과 하늘의 구름 모두 어두운데
江船火獨明(강선화독명) : 강가의 배에 불빛 번쩍번쩍
曉看紅濕處(효간홍습처) : 이른 아침 붉게 젖은 땅을 보니
花重錦官城(화중금관성) : 금관성엔 꽃 활짝 피었으리
귀안(歸雁)-두보(杜甫)
돌아가는 기러기
東來萬里客(동래만리객) : 동으로 만 리 먼 길 가는 나그네
亂定幾年歸(난정기년귀) : 날 리가 평정되어 몇 년 만에 돌아가나
斷腸江城雁(단장강성안) : 강가의 성을 나는 기러기에 애간장이 다 끊어진다
高高正北飛(고고정북비) : 복쪽으로만 높이도 나는구나
春望(춘망)-杜甫(두보)
봄의 소망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 : 조정은 망했어도 산하는 그대로요
城春草木深(성춘초목심) : 성안은 봄이 되어 초목이 무성하네
感時花淺淚(감시화천루) : 시대를 슬퍼하여 꽃도 눈물 흘리고
恨別鳥驚心(한별조경심) : 한 맺힌 이별에 나는 새도 놀라는구나
烽火連三月(봉화연삼월) : 봉화불은 석 달이나 계속 오르고
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 집에서 온 편지 너무나 소중하여라
白頭搔更短(백두소갱단) : 흰 머리를 긁으니 자꾸 짧아져
渾欲不勝簪(혼욕불승잠) : 이제는 아무리 애써도 비녀도 못 꼽겠네
'동 양 미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詠井中月(영정중월) (0) | 2013.11.11 |
---|---|
[스크랩] 금슬(錦瑟)-이상은(李商隱) (0) | 2013.11.11 |
[스크랩] 春思 - 李梅窓(이매창) (0) | 2013.11.11 |
[스크랩] 三婦艶詩 (마누라가 셋이요) (0) | 2013.11.11 |
[스크랩] 三婦艶詩(마누라가 셋이요) 陳 後主. (0) | 201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