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력장군 내려 보내라. 벽력사자 내려 보내라. 우레장군 내려 보내라. 우레사자 내려 보내라. 화덕장군 내려 보내라. - 제주 서사무가 [천지왕본풀이] 중에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번개는 행실이 바르지 못한 악인에게 하늘이 내리는 천벌을 상징해왔다. 못된 짓을 일삼는 수명장자를 하늘의 주인 천지왕은 번개를 내려보내 혼내주었고, 문무왕 2년에는 어미를 때린 자식이 벼락에 맞아 죽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벽력장군이 내려온 것이다. 예로부터 벼락에 맞아 죽은 사람에게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낸 까닭도 여기에 있다. 심지어 번개가 치는 날엔 남녀간의 잠자리도 피했다. 하늘의 화에 아랑곳하지 않고 잠자리를 같이 하면 하늘이 노해 몸이 붙거나 간질이 걸린 아이를 낳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커다란 소리와 함께 눈깜짝할 새에 땅으로 내려꽂히는 번개의 모습은 이 땅에 인간이 살기 시작한 순간부터 원초적인 두려움을 안겨 주었을 것이다. 실제로 번개문(雷紋)은 인류가 창안해낸 가장 오래된 문양 중 하나로 꼽히는데 우리 역사에서도 신석기 시대의 토기와 청동기 시대의 청동거울 등에 이미 번개문이 나타나고 있다. 그 종류는 크게 지(之)자형과 회(回)자형이 있는데, 후자를 가리켜 따로 회문(回紋)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 문양의 태생이 그러한지라 번개 문양은 주로 하늘의 뜻을 묻고, 하늘의 보살핌을 바랄 때 쓰이는 제기(祭器)에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불교문화가 융성한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각종 향로와 범종 등에서 번개 문양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편으로 회(回)자로 표현된 번개 문양은 그 모양새가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無始無終)’하여 우주의 근원이나 장수를 상징하기도 하였다. 오래 사는 것 또한 하늘의 뜻이고 보면 모두 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
얼마 전만 해도 ‘천벌 받을라’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건물마다 피뢰침이 가득한 오늘날, 더이상 번개는 악인을 벌주지 못한다. 오히려 장마철 애꿎은 행인들만 노심초사할 뿐이다. 인간의 끝없는 욕심에 하늘도 이제 그만 지쳤나 보다.
글_김형진<발췌:디자인진흥원>
수자돌림무늬(壽字曲頭紋)
회자세살무늬(回字細 紋)
돌림팔모무늬(曲頭八角紋)
목제자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