井中月(정중월)
李奎報(이규보)
山僧貪月色(산승탐월색) 산골 중이 달빛이 탐나
竝汲一甁中(병급일병중) 우물물을 달과 함께 길었네
到寺方應覺(도사방응각) 절에 와서야 응당 깨닫노니
甁傾月亦空(병경월역공) 단지 기울이자 달이 없음(空)을
竝 나란히 병.㉠나란히 ㉡나란히 서다 ㉢아우르다 ㉣병합하다 ㉤물리치다(屛) ㉦어울리다
汲 물 길을 급.㉠물긷다 ㉡긷다 ㉢당기다
고려 중기에 문장가로 명성을 높인 이규보의 오언절구(五言絶句)이다.
제목은 '우물 속의 달을 노래하다'라는 뜻이다.
산승(山僧)이 물을 길러 갔다가 우물에 비친 달이 하도 아름다워 병 속에 담아가지만,
절에 돌아와 병을 기울여 물을 따르고 나니 달도 함께 사라져버린 것을 깨닫게 된다.
산승이 물병 속에 담아온 달은 인간의 탐욕일 수도 있고, 산승이 얻고자 하는 득도(得道)의
경지나 진리일 수도 있다.
그러나 마침내 얻었다고, 도달했다고 생각하지만 한순간에 사라져버릴 수 있음을 통하여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의 불교관을 드러낸다.
解(해)
기구(起句)에서는
스님이 저녘 지을 물을 길러갔다가 물에 비친 달빛이 너무 예뻐서
물을 길어갈 생각도 잊은 채 달빛에 반해 있는 모습을,
승구(承句)에서는
예쁜 달을 절에 가져 가서 두고두고 바라봐야지 마음 먹고
바가지에 함께 길어 넣는 모습을,
전구(轉句)에서는
절에 돌아와서는 저녁 공양도 드리고 바빠서 깜빡 잊고 있다가
바가지에 담아 온 달을 생각하는 모습을,
결구(結句)에서는
허겁지겁 달려나와 보니 둥그런 바가지가 기울어 달 또한 사라진다.
시인은 어린애같은 천진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온갖 사물을 꿰뚫어 보는 심안을 갖고 있다.
시인이 말하려고 하는 것이 10개라면 3개만 쓰고, 나머지 7개는 감추어 놓는 것이다.
천진난만한 동심의 세계를 그리고 있으니, 별 볼일 없는 시처럼 보이나
각 구의 끝글자를 연결해보면 색중각공(色中覺空)이라는 불교의 진리가 드러난다.
歷(력)
이규보(李奎報 ; 1168 ∼ 1241)의 원래이름은 인저(仁底)였으나 사마시(司馬試) 합격꿈에
규성(奎星)이 과거에 오를 것을 알렸다하여 규보(奎報)라 이름을 고쳤다.
선(禪)에 이끌려 호를 백운거라(白雲居士)라 하였으며,
다시 백낙천(白樂天)의 풍류를 따라 스스로 시금주삼혹호선생(詩琴酒三酷好先生)이라 했으며
당시 사람들은 주필이당백(走筆李唐白)이라 불렀다.
1190년에 진사에 합격하였으나 10년이 지난 뒤에 지방관리가 되어 벼슬길에 나아갔다.
1232년에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로 기용되어 몽고가 병란을 일으켰을 때 사명(詞命)의 일을 도맡아
서(書)와 표(表)를 지어 몽고왕이 병사를 거둔 적이 있었다.
벼슬에 물러난 뒤 평생에 즐겼던 시와 술을 낙을 삼아 가난한 생애를 살다 74세로 생을 마쳤다.
나라에서는 3일동안 조회를 보지 않았으며, 시호를 문순공(文順公)에 봉했다.
奎星 이십팔수의 열 다섯째 별. 입하절(立夏節)의 중성(中星). 서방(西方)에 위치(位置)하며 문운(文運)을 맡아 보고, 이 별이 밝으면 천하(天下)는 태평(太平)하다고 함. 규수.
酷심할 혹.㉠심하다 ㉡독하다 ㉢괴롭다 ㉣심히 ㉤한.
評(평)
그의 시는 생동하고 기골(氣骨)에 차 있으며,
운(韻)을 따라 시상을 형식속에 자유자재로 채워넣는 굉재(宏才)가 있었다.
그래서 동명왕편과 같은 대서사시가 가능하였을 것이다.
그의 시가 8천여수에 이르고 최자(崔滋)는 그의 시를 '일월(日月)과 같아서 칭찬을 초월한다'
하였으며, 천재준매(天才俊邁)라 하고 탁연천성(卓然天成)이라고도 하였다. (끝)
氣骨 ①기혈(氣血)과 골격(骨格) ②씩씩한 의기, 쉽사리 굽히지 않는 기개(氣槪)
宏才 뛰어난 재주, 또는 그러한 사람. 宏 클 굉
天才①선천적(先天的)으로 타고난 뛰어난 재주. 천부의 재능(才能) ②또는, 그런 재능(才能)을 가진 사람
俊 ㉠준걸(俊傑: 재주와 슬기가 매우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 ㉡크다 ㉢높다 ㉣뛰어나다
邁 갈 매.㉠(멀리)가다 ㉡지나다 ㉢힘쓰다 ㉣돌다(순행함) ㉤늙다
卓然 여럿 중에서 높이 뛰어나 의젓한 모양, 탁월한 모양 :卓爾
天成 ①자연(自然)히 이루어짐 ②하늘이 이루어 놓은 일
詠井中月(영정중월)
崔立(최립)
僧去汲井水(승거급정수) 중이 가서 우물물을 길어,
和月滿盂中(화월만우중) 달과 함께 한 바리(동이) 안에 가득 담았네.
入寺無所見(입사무소견) 절간에 들어와서야 소견 없음을 알았네.
方知色是空(방지색시공) 색(色)이 공(空)인 것을.
*和月: 달과 함께.
*盂: 바리 우. 동이.사발 우.㉠사발(沙鉢: 사기로 만든 국그릇이나 밥그릇)
* 崔立(최립.1539~1583)-조선 선조 때의 시인.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般若心經)
-색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은 색과 다르지 않다. 공이 곧 색이요, 색이 곧 공이다-
折花行
이규보(李奎報)
牡丹含露眞珠顆 진주 이슬 머금은 모란꽃을
美人折得窓前過 미인이 꺾어들고 창 앞을 지나며
含笑問檀郞 살짝 웃음띠고 낭군에게 묻기를
花强妾貌强 "꽃이 예뻐요, 제가 예뻐요?"
檀郞故相戱 낭군이 짐짓 장난을 섞어서
强道花枝好 "꽃이 당신보다 더 예쁘구려."
美人妬花勝 미인은 그 말 듣고 토라져서
踏破花枝道 꽃을 밟아 뭉개며 말하기를
花若勝於妾 "꽃이 저보다 더 예쁘시거든
今宵花同宿 오늘밤은 꽃을 안고 주무세요."
顆 낱알 과.㉠낱알 ㉡흙덩이 檀 박달나무 단.㉠박달나무 ㉡자단목
强 ①(일부(一部) 명사(名詞) 앞에 붙어서)'썩 세거나 된'을 뜻하는 말 ②넉넉 ③성(姓)의 하나. 花枝 꽃이 달린 가지
道 ㉠길 ㉡도리 ㉢재주 ㉣구역 이름 ㉤말하다
妬 샘낼 투.㉠샘내다 ㉡강새암하다 ㉢시기하다 ㉣투기하다
踏破 ①험한 길이나 먼길을 끝까지 걸어 나감 ②너른 지역(地域)을 종횡(縱橫)으로 두루 걸어서 돌아다님 踏 밟을 답.破 깨트릴 파.
今宵(금소) 금야(今夜) 宵 밤 소.㉠밤 ㉡초저녁 ㉢작다 ㉣깁
* 절화행 折花行 :
절화는 꽃을 꺾는다는 뜻이고, 행(行)은 악부시체의 하나입니다.
굳이 제목을 글자대로 번역하자면, 꽃을 꺾는 노래라는 뜻이 되겠죠.
* 모란함로진주과 牡丹含露眞珠顆 :
모란함로, 모란꽃이 이슬을 머금었습니다.
함초롬히 이슬이 맺힌 것을 이렇게 표현한 것입니다. 진주과, 진주처럼 영롱합니다.
과는 낟알, 이슬방울을 말합니다.
모란은 대략 5월, 6월경에 꽃이 핍니다. 이슬이 내린 걸로 봐서 저녁때이군요.
이슬은 해가 지고 기온이 내려가면 조금씩 내리기 시작합니다.
한밤중이 되면 이슬방울이 제법 굵어집니다. 모란꽃에 이슬방울이 진주처럼 맺혔다고 하였으니,
초저녁은 아니고, 밤이 깊어 잠자리에 들 때쯤인 것같습니다.
5월 초여름 밤, 활짝핀 모란꽃, 맑은 이슬방울, 이런 개념들은 익을대로 익은 풍염한 여인, 낭군의 품에
안기고 싶어하는 여인의 몸을 연상케 하는 시어들입니다.
* 미인절득창전과 美人折得窓前過 :
미인은 아름다운 여인이지요. 건전한 생각만으로는 신부라고 보는 것이 옳겠지만,
한시에서 이런 경우 반드시 정처 신부만을 의미한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여러 가지 상상을 할 수 있는 곳입니다. 절득은 꺾었다는 뜻입니다.
꽃을 꺾는다는 개념은 남자가 여인을 품에 안는 것을 상징하는 말입니다.
남자를 유혹하는 듯한 묘한 여운을 남기는 대목입니다. 꽃을 꺾어들고, 창전과, 창 앞을 지나갑니다.
* 함소문단랑 含笑問檀郞 :
함소, 미소를 머금은 것입니다. 단랑은 낭군입니다. 미소를 지으며 낭군에게 묻습니다.
* 화강첩모강 花强妾貌强 :
화강, 꽃이 낫다 라는 뜻이죠? 여기서 강이라는 글자는 더 낫다라는 뜻입니다.
꽃이 더 나아요? 첩의 모습이 더 나아요? 라고 낭군에게 묻는 것입니다.
첩이라는 글자는 정처, 즉 아내를 의미하는지 애인 사이인 애첩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습니다만,
일상으로부터 약간 벗어난 경우가 더 감미로울 것같습니다.
* 단랑고상희 檀郞故相戱 :
낭군이 짐짓 장난을 칩니다.
* 강도화지호 强道花枝好 :
강도는 못이기는 체하며 말하는 것입니다.
화지호, 꽃가지가 좋다는 것이죠. 꽃이 당신보다 더 이쁘다고 농담을 하였습니다.
* 미인투화승 美人妬花勝 :
화승은 꽃이 낫다는 뜻이고, 투는 질투한다는 뜻입니다.
미인은 낭군의 말을 듣고서 질투심이 발동하였습니다.
* 답파화지도 踏破花枝道 :
답파, 밟아서 깨뜨리다. 꽃을 밟아서 깨부수는 것이니까, 발로 밟아 짓뭉개는 것이겠죠.
화지, 꽃가지를. 끝에 있는 도 자는 말한다는 뜻입니다. 미인이 아래와 같이 말합니다.
* 화약승어첩 花若勝於妾 :
꽃이 만약에 첩보다 낫거들랑. 승어첩, 첩보다 낫다 라는 뜻입니다.
* 금소화동숙 今宵花同宿 :
금소, 오늘밤. 화동숙, 꽃과 함께 잠자다 라는 말입니다. 이 시의 배경은 늦은 저녁입니다.
잠자리에 들 시간입니다. 낭군은 지금 당장 저 미인을 품에 안고 싶어 합니다.
겉으로는 농담도 하고 넉넉히 여유롭지만, 내면에는 밀고당기는 숨막히는 긴장감이 숨어 있습니다.
낭군의 애간장을 녹이면서 미인이 짐짓 딴청을 부리고 있군요.
http://cafe.daum.net/ceodo/NftD/35
'동 양 미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교한시 모음 (0) | 2013.11.11 |
---|---|
[스크랩] 秋夜 /<鄭澈>. 秋聲賦 (0) | 2013.11.11 |
[스크랩] 題高峰郡上亭 / 최경창(崔慶昌) (0) | 2013.11.11 |
[스크랩] 황조가(黃鳥歌) (0) | 2013.11.11 |
[스크랩] 公無渡河歌(공무도하가) (0) | 201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