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의 그림 <월하정인(月下情人)>.
화제(畵題)가 "月沈沈夜三更 兩人心事兩人知" 로 되어 있다.
窓外三更細細雨 兩人心事兩人知
歡情未洽天將曉 更把羅衫問後期
(창외삼경세세우 양인심사양인지
환정미흡천장효 갱파나삼문후기)
歡情 기쁘고 즐거워 하는 마음
밤 깊은 창 밖에 보슬비는 내리는데
두 사람 속은 두 사람만 알겠지
나눈 정 미흡한데 하늘은 밝아오니
다시금 나삼자락 부여잡고 뒷기약을 묻네
☞ 김명원(金命元)/심희수(沈喜壽)
※ 이 시의 저자와 관련해서는 조선 중기 문인인 김명원과 심희수 두 사람으로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두 사람 다 입신하기 전 장안에 이름께나 날리는 파락호로 전전하며 화려한 여성편력을
기록하고 있다.
편찬 연대가 확실하지 않은 ≪양은천미(揚隱闡微)≫라는 책에 <일지홍(一枝紅)>이라는 제목의
야화가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 실린 이야기는 세간에 널리 알려진 일타홍(一朶紅) 얘기와 비슷하다.
기생 일지홍이 심희수를 출세시키는 내용이다.
내용 가운데 심희수가 일지홍에게 자신의 심정을 담아 써주었다는 시가 등장한다.
窓外瀟瀟細雨時 兩人心事兩人知
新情未洽天將曉 更把羅衫問後期
瀟 강이름 소.㉠강 이름 ㉡맑다 ㉢비바람 치다 .細雨 가랑비.
把 잡을 파.㉠잡다 ㉡쥐다 ㉢묶다 ㉣손잡이 ㉤한움큼 ㉥묶음 ㉦자루
羅衫(라삼) 비단 적삼(웃도리)
아래 시는 심희수(沈喜壽)가 지은 <희음(戱吟)>이라는 작품이다.
그의 문집 ≪일송집(一松集)≫에 실려 있다.
제목 그대로 '장난삼아 읊어 본' 것에 불과하지만, 우리가 익숙하게 연상해온 지체 높고 근엄한
선비의 모습과는 다소 거리가 느껴져 흥미롭다.
朝朝弄侍婢 不謂室人知
遇泄閒消息 還慙白髮垂
아침마다 계집종을 희롱하며
마누라에게 들킬까봐 입막음을 했는데
어쩌다가 쓸데없이 들통이 나서
하얗게 센 백발이 오히려 부끄러워지네
弄 희롱할 롱.①실없는 장난 ②농담(弄談)
遇 만날 우.㉠만나다 ㉡대접하다 ㉢당하다 ㉣마침
泄 샐 설.㉠새다 ㉡업신여기다 ㉢섞다 ㉣없애다 ㉤일어나다. 閒 틈한, 사이 간.
還 ㉠돌아오다 ㉡돌아보다 ㉢물러나다 ㉣갚다 ㉤(눈동자를)굴리다 ㉥다시 ㉦도리어 ⓐ돌다(=旋) (선) ⓑ재빠르다 (선)
慙 부끄러울 참.㉠부끄러워하다 ㉡부끄럽게 여기다 ㉢부끄러움 ㉣수치
垂 드리울 수.㉠드리우다 ㉡늘어지다 ㉢가 ㉣변방 ㉤거의
'동 양 미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公無渡河歌(공무도하가) (0) | 2013.11.11 |
---|---|
[스크랩] 獨笑 / 정약용 (0) | 2013.11.11 |
[스크랩] 雲山獨釣圖 / 정백평(鄭伯萍) (0) | 2013.11.11 |
[스크랩] 옛 기생들의 그리움의 詩 (0) | 2013.11.11 |
[스크랩] 항우의 해하가(垓下歌) (0) | 201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