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원래 용성국 사람이요. 우리나라에는 28 용왕이 있는데 그들은 모두사람의 태(胎)에서 났으며 나이 5세, 6세부터 왕위에 올라 만민을 가르쳐 성명(性命)을 바르게 했소. 8품의 성골이 있는데 그들은 고르는 일이 없이 모두 왕위에 올랐소. 그때 부왕 함달파가 적녀국의 왕녀를 맞아 왕비로 삼았소. -「삼국유사」 권1 기이1 [제4대 탈해왕] 중에서
한국 고대문헌에서 용은 신화의 단골손님이다. 신라에서 조선에 이르는 건국신화들을 살펴보면, 이제껏 한반도에 세워졌던 거의 모든 나라의 시조들은 대개 용의 자손임을 알 수 있다. 신라의 석탈해는 위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용성국(龍城國) 왕과 적녀국(積女國) 왕녀간의 소생이며 고려 태조 왕건은 작제건(作帝建)과 서해 용왕의 딸이 낳은 용건(龍建)의 아들이다. 또한 후백제의 시조인 견훤은 광주 북촌의 부잣집 딸이 지렁이와 교혼하여 낳았다고 하는데, 이 지렁이는 ‘지룡(池龍)’으로 해석할 수 있다. 조선의 국조 신화인 [용비어천가]는 조선을 건국하기까지의 여섯 시조를 해동육룡(海東六龍)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건국신화라는 것이 새로 세워진 왕권의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후대에 각색된 일종의 정치적 선전이라면, 용과의 혈연관계를 주장하는 것이야말로 정통성을 인정받는 확실한 지름길이었던 것이다. 이렇게 용이 왕권의 상징으로 통하게 된 이유는 용이 물과 기후를 관장하는 수신이므로 농경문화권에서 절대적인 존재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또는 용이 바다로부터 왔으며 신화 속에서 ‘해외’에서 온 존재와의 교통이라는 주제로 종종 등장하는 것을 들어 고대 한반도와 남방 또는 서역과의 연관성을 추측하기도 한다. 명백한 상상의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삼국사기」나 「조선왕조실록」 등의 문헌에는 용이 출현하였다는 기사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데 이것은 아마도 바다에서 일어나는 기상현상인 ‘용오름’의 일종이었을 것이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용은 왕의 권위의 상징물로 궁중유물에 많이 등장한다. 흔히 발가락이 5개인 용은 황제, 4개인 용은 제후, 3개인 용은 재상을 상징하여 중국의 황제만이 5개를 사용할 수 있었다고 하지만 실제 도상에서 그리 엄격하게 지켜지는 것은 아니었다. 절에 있는 용은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이요, 굿판의 용은 비를 내리게 하는 용왕신이요, 민가의 대문에 붙은 용은 잡귀를 물리치는 영물이다. 어떤 고정된 정형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상상의 존재답게 천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한국의 용이다.
글_편집실<발췌:디자인진흥원>
불국사 대웅전 용조각 적룡(赤龍) 우현리 강서대묘 현실동벽 청룡도 화룡도(化龍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