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酒當歌 / 술 마셨으니 노래해야지
人生幾何 / 인생이란 것 얼마 되나?
譬如朝露 / 비유하지면 아침이슬 같은데
去日苦多 / 가버린 날은 고달프게 많기도 하네.
慨當以慷 / 감정이 북받치는 대로 노래하는데
憂思難忘 / 가슴 속 시름은 잊을 수가 없구나.
何以解憂 / 무엇으로 이 시름을 풀어 버릴까?
唯有杜康 / 오직 술이 있을 뿐
靑靑子衿 / 푸른 제복의 수재 선비 제군들이여
悠悠我心 / 나 그대들을 그리워하는 마음 오래 되었소
但爲君故 / 단지 그대들을 위해서
沈吟至今 / 지금까지 읊조려 왔다네.
呦呦鹿鳴 / 사슴들이 유~ 유 ~ 하며 즐겨 울면서
食野之苹 / 들판 가득한 쑥을 뜯어 먹듯이
我有嘉賓 / 나에겐 멋진 손님들 있어서
鼓瑟吹笙 / 비파 타고 피리 불며 놀고 있다네.
明明如月 / 달처럼 밝은 인재들
何時可掇 / 언제나 가지게 될 것인지?
憂從中來 / 시름이 가슴 속에서 우러나오니
不可斷絶 / 끊어버릴 수가 없네.
越陌度阡 / 논두렁 밭두렁 먼 길 지나와서
枉用相存 / 나에게 왕림하여 안부 물어주시네.
契闊談讌 / 오랜만에 만나 이야기하는 술자리
心念舊恩 / 마음속으로 옛 은혜를 생각하네.
月明星稀 / 달이 밝아 별이 드물게 보이는데
烏鵲南飛 / 까막까치는 남으로 날아가네.
繞樹三匝 / 나무를 세 바퀴나 돌았지만
何枝可依 / 어느 가지에 의지할 것인가?
山不厭高 / 산은 높은 것 마다하지 않고
海不厭深 / 바다는 깊은 것 마다하지 않는다네.
周公吐哺 / 주공은 씹던 음식 뱉고 손님맞이 했기에
天下歸心 / 천하의 마음이 그에게 돌아갔다네.
*** 曹 操(155 ~ 220) : 字는 孟德, 흔히 漢나라를 찬탈한 奸雄, 梟雄 등으로 불리며 비난 받기도 하지만, 탁월한 전략가이며 정치가인 동시에 뛰어난 문인이기도 했던 稀代의 英雄.
우리나라에서는 누구 얘기를 할 때 그 장본인이 나타나면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라고 하지만, 중국에서는 이런 경우에 “조조 얘기하면 곧 조조가 나타난다(說曹操,曹操就到了)”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後漢 말기의 혼란기에 출생(고향:沛郡). 황건적의 난을 평정하고 당시의 권력자 동탁(董卓), 원소(袁紹) 등 대소 군벌들을 차례로 정복하여 당대 최고의 권력가가 되어서 大將軍, 丞相 등을 거쳐 황제(獻帝)로부터 魏王에 봉해졌는데, 그의 사후에 아들 조비(曹丕)가 漢을 멸망시키고 황제가 된 후 그를 武帝로 추존하였다.
四言体의 위 詩는 잔치 자리에서 노래하는 어투를 사용하여 자신의 웅대한 마음과 인재를 갈망하는 마음을 나타낸 것임.
< 月明星稀 烏鵲南飛 > 구절은 蘇東坡가 赤壁賦에서 인용했으며,
< 對酒當歌 人生幾何 > 구절은 지난번 <韓中日文化人서예전시회> 때 일본작가가 작품화 하는 등
시인 묵객들의 작품에서 인용하는 名句가 많이 있다.
** 短 歌 行 : 본래 악부시의 제목을 조조가 빌려 쓴 것임.
** 杜 康 : 술을 처음으로 만들었다는 사람 이름으로, 여기서는 술을 지칭함.
** 契 闊 : 만나고 헤어짐. 여기서는 오랫동안 헤어졌다가 다시 만난 것을 뜻함.
** 呦呦鹿鳴 ~ 鼓瑟吹笙(4句) : 詩經 구절을 인용한 것임.
** 呦呦 : 사슴이 즐거워서 ‘ you~ you~ ’하며 우는 소리. the cry of deer
** 匝 : (잡) 두루 돌다. 한바퀴 빙 돌다. (帀 同)
'동 양 미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曹植 의 [ 七 哀 詩 ] (0) | 2013.11.11 |
---|---|
[스크랩] 曹丕 의 [ 燕 歌 行 ] (0) | 2013.11.11 |
[스크랩] 杜甫 詩 [ 江漢 ] (0) | 2013.11.11 |
[스크랩] 黃鳥歌 / 곳고리 노래 (0) | 2013.11.11 |
[스크랩] 김시습 시집중에서.. (0) | 201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