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손아귀에 넣고 호령하던 왕의 여자를 보기좋게 가로챈 간 큰 남자가 있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오늘날, '레오나르도 다빈치' 나 '라파엘로'는 옛날의 잘 나가는 화가들로 거론한다.
그럼 당연히 이들의 시대, 르네상스 시대에도 오늘날 처럼 인구에 회자되던 화가가 있었을 것이다.
바로 '아펠레스 (Apelles, B.C. 352∼308)' 라는 화가다.
당시에 '아팔레스'처럼 잘 그린다는 칭호는 최대의 찬사였다.
일례로 티치아노는 <악타이온의 죽음>을 그리고 "제 2의 아팔레스"라는 호칭을 받았다..
아펠레스는 누구인가?? 당연히 화가지..
티에폴로 < 캄파스페를 그리는 아펠레스 >
아팔레스는 젊고 용맹한 알렉산더(알렉산드로스, B.C. 356∼323 ) 대왕의 전속 화가였다. 그가 얼마나 그림을 잘 그렸냐 하면 이런 일화가 있다. 화가 여럿이 모여서 누가 말 그림을 제일 잘 그리나 내기가 붙었다. 다 그린 그림은 자기들끼리 돌아가며 심사하기로 했다. 그런데 아펠레스의 작품을 가지고는 다들 졸작이라고 입을 맞추는 것이 아닌가. 군말 없이 마구간으로 달려간 아펠레스는 숫말을 한 마리 끌고 와서는 고삐를 풀어주자 이 넘이 다른 작품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대뜸 아펠레스가 그린 암말을 향해 사정없이 돌진(?)하여 그림이 남아나지 않아서... 아쉬울 뿐이다. ..그 정도로 그림을 잘 그렸다는 이야기다.
John William Godward (1861-1922)
Study of Campaspe
대왕은 섹쉬걸 록사나와 결혼하기 전에 '판카스페'라는 아름다운 애인이 있었다.
(르네상스 이후에 이 이름은 '캄파스페'로 알려진다)
그녀의 아름다운 알몸을 항상 경배수준으로 찬양하던 대왕은
어느날 그녀의 싱싱한 육신을 영원히 남겨놓기 위해
아펠레스에게 그녀의 나신을 그리도록 명한다.
수말이 그림의 암말을 진짜인줄 알고 돌진할 정도니 캄파스페의 그림이 얼마나 황홀할 것인가..?
대왕은 엄청난 기대에 부풀어 하루 하루 그림이 완성되길 기다렸다.
Apelles Painting Campaspe . 1720
그러던 어느날 그림이 잘 되어가나
싶어 화가의 작업실에 들렀던 알렉산드 대왕은그 녀 또한 화가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던 것이다..
: 옛날에는 이렇게 여자를 하사품(?)으로 주기도 했단다. 여성분들 보면 열 받겠지만^^
Giovanni Battista Tiepolo 1696-1770
사실 그림쟁이에게 자신의 여인을 뺏앗긴 쪽팔림을 면하기 위해 미화된 면이 없잖아 있겠지만,
'폴리니우스'는 이 일을 이렇게 찬양한다.
“대왕은 화가에게 여인을 선물로 하사한다. 위대한 대왕의 너그러운 천성 탓이기도 했지만,
자신을 이기는 대왕의
자제심은 더욱 위대했고그의 관대한 행동으로 말미암아 일찍이 대왕이 거두었던
어떤 다른 승리에 견주어 모자
라지 않는 위대함을 이루었다. 이유는 이렇다.대왕은 다름아닌 자기 자신을 이겨냈으며,
자신이 소유했던 총희뿐 아니라 그의 애정까지도 화가에게 내주었기 때문이다.
그것도 한때 자신이 소유했으나 지금은 화가의 품에 안기게 될
여인에 대한 사랑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접어둔 채로!”
Angelika Kauffmann (1741-1807)
Alexander überlässt Apelles seine Geliebte Kampaspe, 1783
캄파스페도 제국의 안주인 자리는 놓혔지만,
회화사상 신의 경지에 이른 화가의 아내가 되어 지금껏 회자되니 밑지는 장사는 아닐듯~.
Sandro Botticelli
Calumny of Apelles
1494-95. Tempera on panel, 62 x 91 cm
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그의 재능을 시기하던 화가 '안티필로스'가 '프톨레마이오스 1세'에게
'아펠레스'는 그의 결백을 입증하기 위하여 자신이 등장하는 우의화를 한 점 그려
(위 그림) 왕에게 바친다.
Truth and Remorse
'그 림 과 명 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누라 자랑하다 죽은 남자_칸다우레스 (0) | 2013.08.24 |
---|---|
[스크랩] 마녀사냥 The witch-hunting & Trial (0) | 2013.08.24 |
[스크랩] 미켈란젤로 (Michelangelo Buonarroti, 1475~1564)에 대하여 (0) | 2013.08.24 |
[스크랩] 레옹 제롬의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 [이주향의 그림으로 읽는 철학] (0) | 2013.07.31 |
[스크랩] 아테네 학당. 라파엘로[The School of Athens, Sanzio Raffaello] (0) | 201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