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향의 그림으로 읽는 철학](17)
레옹 제롬의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
이주향 수원대 교수·철학
ㆍ소망합니다. 그대 내 사랑이 되기를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은 운명의 지침을 돌려놓지요?
저 그림의 남과 여, 한용운의 ‘님의 침묵’처럼 정말로 운명의 지침을 돌려놓을 정열적인 키스를 하고 있는 것 같지 않으세요? 그런데 왜 여자만 알몸일까요? 아, 그러고 보니 알겠습니다.
저 남자가 저 여자를 만든 거네요! 저 남자, 피그말리온입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로 유명한 그 남자!
그 마음, 아세요? 사랑하고 싶은데 사랑할 수 없는 마음, 사랑할 사람도 없는데, 봄꽃처럼 피어오르는 사랑! 피그말리온이 그랬습니다. 그는 왕이었습니다. 세상의 여자를 권력으로 취할 수 있는 왕!
그런데 권력으로 쉽게 다가가다 보면 마음으로 다가서는 법을 잃어버리게 되지요?
계급장 떼고 만나는 것이 어려운 사람에게 진정한 사랑은 언제나 어려운 법입니다. 그래놓고 세상 탓, 여자 탓, 남자 탓만 하는 거지요.
그런 피그말리온은 믿었습니다. 세상은 넓고 여자는 많아도 마음 놓고 사랑할 여자가 없다고.
왜 그에겐 마음 놓고 사랑할 여자가 없었던 걸까요?
피그말리온이 본 세상의 여자들은 아무에게나 정을 주고 또 쉽게 정을 거두는 헤픈 존재들이었습니다. 함께 꿈꿀 수 없는 여자, 함께 미래를 설계할 수 없는 여자였던 거지요.
장 레옹 제롬,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 1890년경, 캔버스에 유채, 89x68㎝,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
Pygmalion and GaletaOil on Canvas, 35 x 27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Pygmalion and Galeta Oil on Canvas, 35 x 27 in. The Bridgemen Art Library London
그런데 그거 아십니까? 사랑할 사람이 없다며 사랑하지 않는 자는 대부분 콧대 높은 사람이라기보다 콤플렉스에 사로 잡혀 있는 사람이라는 사실! 현실 속의 여자를 미워하며 신뢰하지 못하는 남자는 실상은 자신의 남성성을 믿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그 콤플렉스 속에서 제대로 타오르지 못한 열정은 병이 됩니다. 세상에 혼자 버려진 느낌, 혹은 높은 탑에 갇혀 있는 답답한 느낌을 앓고 있는 거지요.
그렇게 병들고 시든 남성성이 여인의 향기가 그리우면 피그말리온처럼 환상 속의 그대를 만들게 되지 않나요? 자, 보십시오. 피그말리온과 정열적인 키스를 나누는 저 아름다운 몸매의 여인을.
그녀는 갈라테이아입니다. 세상에는 간직해둘 만한 가치가 있는 여자가 없다고 세상의 여자를 사랑하지 못한 피그말리온이 직접 조각하여 만든 그 여자 갈라테이아!
조각가이기도 했던 피그말리온은 자기 속의 여인을 현실화했습니다. 아름답고 열정적이고 그러면서도 따뜻하고 정숙한 여인을.
이제 여자의 발을 자세히 들여다보십시오. 이상하게도 발이 조각대에 붙어 있습니다.
아시겠지요? 그녀는 현실 속의 여인이 아니라 만들어진 여인, 환상 속의 여인입니다.
장 레옹 제롬의 솜씨는 사랑에 빠져 키스를 나누는 열정적인 여인의 환상적 자태에서만 드러나는 것이 아닙니다. 그의 멋진 솜씨는 생동하는 상체와 대비하여 아직 피가 돌지 않아 차갑기만 할, 푸르스름한 종아리에서도 드러납니다. 피그말리온의 갈라테이아가 조각대에서 걸어 나와 현실 속의 여인이 되기 위해서는 저 다리에 피가 돌고 힘이 붙어야 합니다.
실제로 피그말리온은 상아로 아름다운 여인을 깎아놓고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에게 간곡히 빌었다지요? 눈 맑고 피부 맑은 내 여인이 마음 맑은 여인으로 따뜻하게 태어나기를, 피가 돌고 살이 붙어 자신과 사랑을 나눌 수 있기를! 아프로디테의 아들 에로스의 화살이 그들을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저 순간은 그의 간곡한 소망이 실현되는 극적인 순간이기도 합니다. 거기서 바로 피그말리온 효과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세상은 소망하고 기대하는 대로 이뤄지고, 사람은 믿어주는 대로 반응하고 성장한다는 거!
실제로 아이를 키워보면 알게 됩니다. 아이는 엄마의 믿음을 먹고 성장한다는 것을. 자신을 믿지 못하는 엄마는 아이에게 믿음을 주지 못한다는 것도. 가까운 사이에서 피그말리온 효과는 의미 있습니다. 그것은 내가 가까운 이에게 나눠주고 있는 내 안의 정서와 느낌을 성찰하게 만드니까요.
그렇지만 환상 속의 그대를 만들어야만 사랑할 수 있는 피그말리온은 안쓰럽지 않나요?
그저 바랄 뿐입니다.
환상으로 사랑을 시작한 자, 그 환상을 통해 환상을 깨고 진짜로 현실의 사랑을 알게 되기를 말입니다.
/ 경향
[가슴속 그림 한폭]
장 레옹 제롬의 ‘배심원 앞의 프리네’/법의학자 문국진씨
"잘 보세요. 누드의 눈부신 아름다움과 천을 벗겨내는 변호인의 결연한 동작, 경악을 금치 못하는 배심원들의 표정…. 인체의 아름다움을 이처럼 극적으로 표현한 작가가 또 있을까요?"
법의학자 문국진(81) 고대 명예교수는 프랑스 화가 장 레옹 제롬(1824∼1904)의 작품인 '배심원 앞의 프리네'를 최고 걸작 중 하나로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국내에 법의학의 씨를 뿌리고 수많은 재판에 참여했던 그로선 고대 그리스의 한 법정 풍경이 담긴 이 그림이 남다르게 다가왔던 모양이다.
900 × 550 - oil painting by Jean-Leon Gerome (1824-1904)
그림의 배경은 기원전 4세기 아테네의 한 법정.
아프로디테 신상(神像)의 제작 모델로 설 만큼 아름다웠던 프리네란 여인이 한 권세가의 모함에 의해 신성모독죄로 법정에 선다. 사형선고를 받을 위기의 순간, 그녀의 애인이었던 변호인은 프리네를 알몸인 채 천만 씌워 들어오게 한다. 그리고 마치 동상의 제막식을 하듯, 알몸을 덮고 있던 천을 벗겨버린다.
경악과 감탄의 탄성을 토해내는 배심원들.
변호인은 '자 신상에 자신의 형상을 빌려줄 만큼 아름다운 여인을 꼭 죽여야 하는가?'라고 묻는다. 결국 배심원들은 '사람이 만들어낸 법은 효력을 발휘할 수 없다.'란 결론을 내리고 무죄를 선고했다고 한다.
"수십명에 달하는 인물 각각의 표정이 생생하게 살아 있어요. 집단초상화 중 최고 작품으로 꼽히는 렘브란트의 '야경'보다도 그 가치를 더 높이 사고 싶습니다."
문 박사는 예술이 자신에게 '인생 2모작'이라고 표현한다. 법의학자로서 최선을 다해 일군 삶이 1모작이었다면, 현재는 예술에 푹 빠져 2모작 삶을 살고 있다는 뜻. 그리고 후학들에게 늘 강조한다.
'과학은 보다 인간적이어야하고, 예술은 과학적이어야 한다.'고 . 아픔을 나누고 공감할 수 있는 과학, 의학이 진정 중요한데, 여기에 바로 예술의 역할이 있다는 것이다.
법의학자적 의식 때문인지 문 박사는 죽음과 관련된 예술, 예술가들에 관심이 많다. 자살로 생을 마감한 고흐의 흔적을 좇아다니며 그의 죽음을 분석한 책 '반 고흐, 죽음의 비밀'을 내기도 했다.'바흐의 두개골을 열다''모차르트의 귀', 명화와 의학의 만남''법의학자의 눈으로 본 그림속 나체''명화로 보는 사건' 등 10여권의 예술 관련 책을 냈다. 다음 달에도 '미술과 범죄'란 책을 낼 예정.
예술에 눈 돌린 뒤 매일매일 새 삶을 사는 듯한 희열을 느낀다는 문 박사. 과학도는 새로운 사실을 인준받기 위해 몇달, 몇년 동안 고달픈 씨름을 벌여야 하는 반면, 순간적 발상에 의한 예술작품이 모든 사람들을 감동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단다. 여든을 넘긴 노학자가 탄탄한 새 삶을 일구어가는 모습이 제롬의 작품 못지않게 아름답다는 생각을 하며 여의도 문 박사 자택을 나선다.
/ 서울
제롬 [Jean-Léon Gérome]
Jean-Léon Gérôme Self Portrait, 1886 Oil on Canvas Current location: Aberdeen Art Gallery Image courtesy of the Art Renewal Center
19세기말 프랑스에서 가장 뛰어난 아카데미풍 미술가였다. 아버지가 금세공사였던 제롬은 J. H. 들라로슈에게서 그림을 배웠다.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아 Pygmalion and Galatea〉(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같은 그의 역사적·신화적인 그림은 정교하고 서사적이며 흔히 멜로드라마적이고 관능적인 특징을 지녔다. 그의 회화는 화면처리가 고도로 완벽하고 기교에 대한 집착을 보여준다. 그는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의 짜임새 있는 선 위주의 화풍을 연상시키는 솜씨있는 소묘가였으며 들라로슈풍의 창의적인 삽화가였다. 1856년의 이집트 여행을 통해 〈옛 카이로의 아므르 회교사원에서의 기도 Prayer in the Mosque of ⁽Amr, Old Cairo〉(1860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와 같은 이국적 요소를 회화에 도입했다. 생애의 마지막 25년 동안 조각에 전념했다. 국립미술학교의 교사로서 많은 제자들을 배출했으며, 그중에는 오딜롱 르동과 미국의 미술가 토머스 에이킨스, J. 올던 웨어도 끼여 있었다. 미술가로서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던 제롬은 파리 미술계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인상파 화가들에게 지나친 적개심을 품고서 1893년까지도 정부당국에 그들의 유작 65점의 기증을 받아들이지 말 것을 촉구했다.
Young Greeks Encouraging Cocks to Fight
Grecian Interior, Le Gynecee Jean Leon Gerome
Jean-Léon Gérôme (1824-1904) La Prière au Caire [Prayer in Cairo]
Jean-Leon Gerome (Jean Leon Gerome) (1824-1904) Duel After a Masquerade Ball
Gerome, Jean-Leon The Christian Martyrs' Last Prayer
'그 림 과 명 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팔레스와 캄파스페..알렉산드 대왕의 애첩을 가로챈 화가 (0) | 2013.08.24 |
---|---|
[스크랩] 미켈란젤로 (Michelangelo Buonarroti, 1475~1564)에 대하여 (0) | 2013.08.24 |
[스크랩] 아테네 학당. 라파엘로[The School of Athens, Sanzio Raffaello] (0) | 2013.07.31 |
[스크랩] 세계에서 비싼 그림들 모음 (0) | 2013.07.31 |
[스크랩]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그림 (0) | 2011.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