梅聖兪詩集序·歐陽修
予聞世謂詩人少達而多窮,夫豈然哉!蓋世所傳詩者,多出於古窮人之辭也.
凡士之蘊其所有,而不得施於世者,多喜自放於山巓水涯之外,
見蟲魚草木風雲鳥獸之
狀類,往往探其奇怪. 內有憂思感憤之鬱積,其興於怨刺,以道羈臣寡婦之所歎
,而寫人情之難言,蓋愈窮而愈工. 然則非詩之能窮人,殆窮者而後工也.
予友梅聖兪,少以蔭補爲吏,累擧進士,輒抑於有司,困於州縣,凡十餘年.
年今五十,猶從辟書,爲人之佐. 郁其所蓄,不得奮見於事業.其家宛陵,
幼習於詩.
自爲童子,出語已驚其長老. 旣長,學乎六經仁義之說.其爲文章,簡古純粹,
不求苟說於世.世之人,徒知其詩而已. 然時無賢愚,語詩者必求之聖兪.
聖兪亦自以其不得志者,樂於詩而發之. 故其平生所作,於詩尤多. 世旣知之矣,
而未有薦
於上者.
昔王文康公嘗見而歎曰:「二百年無此作矣.」 雖知之深,亦不果薦也. 若使其幸
得用於朝廷,作爲雅、頌,以歌詠大宋之功德,薦之淸廟,而追商、周、
魯頌之作者,豈不偉歟! 奈何使其老不得志而爲窮者之詩,乃突發於蟲魚物類、
羈愁感歎之
言! 世徒喜其工,不知其窮之久而將老也,可不惜哉!
聖兪詩旣多,不自收拾. 其妻之兄子謝景初,懼其多而易失也,取其自洛陽至於吳
興以來所作,次爲十卷. 予嘗嗜聖兪詩,而患不能盡得之,遽喜謝氏之能類次也,
輒序而藏之.
其後十五年,聖兪以疾卒於京師. 余旣哭而銘之,因索於其家,得其遺稿千餘篇,
並舊所藏,掇其尤者六百七十七篇爲一十五卷.嗚呼!吾於聖兪詩,論之詳矣,
故不復云.
매성유시집서(梅聖兪詩集序)-구양수(歐陽修)
予聞世謂詩人少達而多窮(여문세위시인소달이다궁)
내가 듣기로 세상 사람들이 말하기를 “시인은 영달하는 사람이 적고, 곤궁한
사람이 많다.”라고 하는데,
夫豈然哉(부기연재) 무릇 어찌 그렇겠는가?
蓋世所傳詩者(개세소전시자) 세상에 전해지는 시는
多出於古窮人之辭也(다출어고궁인지사야) 대개 옛날 곤궁했던 사람에게서
나왔기 때문이다.
凡士之蘊其所有(범사지온기소유)선비가 재능을 간직하고도
而不得施於世者(이불득시어세자) 세상에 펼 수 없게 되면,
多喜自放於山巓水涯之外(다희자방어산전수애지외) 대부분 스스로 산이나
물가로 나가,
見蟲魚草木風雲鳥獸之狀類(견충어초목풍운조수지장류) 벌레·물고기·초목·바람·
구름·새·짐승 등을 보고
往往探其奇怪(왕왕탐기기괴) 왕왕 기이한 것을 찾아낸다.
內有憂思感憤之鬱積(내유우사감분지울적) 또 마음 속에 슬픈 마음과 분개한
감정이 쌓이면
其興於怨刺(기흥어원자) 곧 원망하고 풍자하여,
以道羈臣寡婦之所歎(이도기신과부지소탄) 쫓겨난 신하나 과부의 한탄을 통해
而寫人情之難言(이사인정지난언) 인정상 말하기 어려운 것을 써내게 된다.
蓋愈窮則愈工(개유궁칙유공) 대개 곤궁하면 곤궁할수록 더욱 공교한 시가 된다.
然則非詩之能窮人(연칙비시지능궁인) 그러니 시가 사람을 곤궁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殆窮者而後工也(태궁자이후공야) 사람이 곤둥하게 된 후라야 시가 공교로워 진다.
予友梅聖兪(여우매성유) 내 친구 매성유는 어려서
少以蔭補爲吏(소이음보위리) 음보로서 낮은 관리가 되었다.
累擧進士(루거진사) 여러 번 진사시험에 응시했으나
輒抑於有司(첩억어유사) 시험관의 억압으로 합격하지 못했다.
困於州縣(곤어주현) 주·현에서 곤궁하게 산지가
凡十餘年(범십여년) 무릇 10년이나 되었다.
年今五十(년금오십) 나이가 쉰인데도
猶從辟書(유종벽서) 벽서에 따라
爲人之佐(위인지좌) 다른 사람 보좌관 역할을 하고 있어,
鬱其所畜(울기소축) 배운 학문이 막혀서
不得奮見於事業(불득분견어사업) 하는 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가 없었다.
其家宛陵(기가완릉) 집은 완릉이고
幼習於詩(유습어시) 어려서 시를 배웠는데,
自爲童子(자위동자) 어린아이 시절부터
出語已驚其長老(출어이경기장노) 이야기를 하여 그의 어른들을 놀라게 했다.
旣長(기장) 어른이 되어서는
學乎六經仁義之說(학호육경인의지설) 육경과 인의의 도리를 배웠다.
其爲文章(기위문장) 그가 문장을 짓는 것이
簡古純粹(간고순수) 간결하고 예스러우며 순수하여
不求苟說於世(불구구설어세) 세상 사람들의 구미에 맞추려고 하지 않았다.
世之人徒知其詩而已(세지인도지기시이이) 세상 사람들은 다만 그의 시만을
알아주었다.
然時無賢愚(연시무현우) 당시에는 현자나 우자의 구별없이
語詩者必求之聖兪(어시자필구지성유)
시에 대해 이야기하려는 사람은 매성유에게 가르침을 받으려 했다.
聖兪亦自以其不得志者(성유역자이기불득지자)
매성유도 역시 스스로 하고자 하는 뜻을 이루지 못하여,
樂於詩而發之(낙어시이발지) 시로 감정을 나타내기를 좋아했다.
故其平生所作(고기평생소작) 그래서 그가 평생 지은 것 중에
於詩尤多(어시우다) 시가 더욱 많았다.
世旣知之矣(세기지지의) 세상 사람들이 모두 그를 알아주었으나,
而未有薦於上者(이미유천어상자) 그를 조정에 천거하여 주는 사람은 없었다.
昔王文康公(석왕문강공) 전에 왕문강공이
嘗見而歎曰(상견이탄왈) 그의 시를 보고 감탄하여 말하기를,
二百年無此作矣(이백년무차작의)
“이백 년 이래로 이렇게 훌륭한 작품이 없었다.”고 했다.
雖知之深(수지지심) 비록 그를 깊이 알아주었으나
亦不果薦也(역불과천야) 역시 조정에 천거하지는 않았다.
若使其幸得用於朝廷(약사기행득용어조정) 만약 다행히 조정에서 그를 중용하여
作爲雅頌, 그에게 아송을 짓고
以歌詠大宋之功德(이가영대송지공덕) 송나라의 공덕을 노래하게 하고
薦之淸廟(천지청묘) 그 작품을 청묘에서 올리게 하여,
而追商周魯頌之作者(이추상주노송지작자)
시경 주의 상송·주송·노송의 작자를 따르게 하면
豈不偉歟(기불위여) 어찌 훌륭한 일이 아니겠는가?
奈何使其老不得志(내하사기노불득지) 어찌 늙도록 뜻을 펴지 못하게 하여
而爲窮者之詩(이위궁자지시) 곤궁한 사람의 시만을 쓰게 하며,
乃徒發於蟲魚物類羈愁感歎之言(내도발어충어물류기수감탄지언)
온갓 곤충과 물고기 따위에 감동되어 타향살이의 슬픔을 그려내게 하는 것인가.
世徒喜其工(세도희기공) 세상 사람들은 그의 시가 훌륭하다고 좋아할 뿐,
不知其窮之久而將老也(불지기궁지구이장노야)
그가 곤궁하게 지낸지가 오래되었고 또 늙어가는 줄도 모르고 있으니,
可不惜哉(가불석재) 정말로 애석하다.
聖兪詩旣多(성유시기다) 매성유의 시가 너무 많아
不自收拾(불자수십) 스스로 정리할 수 없었다.
其妻之兄子謝景初(기처지형자사경초) 그의 처조카인 사경초가
懼其多而易失也(구기다이역실야) 시가 없어질까 걱정되어,
取其自洛陽至於吳興以來所作(취기자락양지어오흥이래소작)
낙양에 있을 때부터 오흥에 있을 때까지 쓴 작품을 모아
次爲十卷(차위십권) 순서대로 열 권으로 편찬했다.
予嘗嗜聖兪詩(여상기성유시) 내가 일찍이 성유의 시를 좋아했으나
而患不能盡得之( 이환불능진득지) 모두 모을 수가 없을까 걱정했는데,
遽喜謝氏之能類次也( 거희사씨지능류차야)
사경초가 순서대로 편찬했다는 말을 듣고 기뻐
輒序而藏之(첩서이장지) 문득 서를 지어 간직하였다.
其後十五年(기후십오년) 그후 15년이 되어
聖兪以疾卒於京師(성유이질졸어경사) 성유는 경사에서 병으로 죽었다.
余旣哭而銘之(여기곡이명지) 나는 그를 위해 곡하고 묘지명을 쓴 후,
因索於其家得其遺稿千餘篇(인색어기가득기유고천여편)
그의 집에서 유고 천 여 편을 찾아내어
幷舊所藏(병구소장) 전에 보관하던 것과 합쳐
掇其尤者六百七十七篇爲一十五卷(철기우자육백칠십칠편위일십오권)
훌륭한 것 677편을 골라 열 다섯 권으로 만들었다.
嗚呼(오호) 아,
吾於聖兪詩(오어성유시) 매성유의 시에 대해서
論之詳矣(논지상의) 이미 상세히 논했으니,
故不復云(고불복운) 그래서 다시 말하지 않겠다.
梅堯臣(1002˜1060年),字聖兪,宣州宣城(今屬安徽)人。 宣城古稱宛陵,
世稱宛陵先生。 皇佑三年(1051年) 賜 同進士出身。 官至尙書都官員外郞。
'동 양 미 술 자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陶濳(도잠) 自祭文(자제문) (0) | 2013.11.11 |
---|---|
[스크랩] 歲寒圖(세한도) 발문 (0) | 2013.11.11 |
[스크랩] 동심설(童心說)-이지(李贄) (0) | 2013.11.11 |
[스크랩] 春夜宴桃李園序(춘야연도리원서) - 李白(이백) (0) | 2013.11.11 |
[스크랩] 歸園田居 / 陶淵明 (0) | 201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