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한방,산야초

[스크랩] 홍삼의 효능

bizmoll 2013. 7. 24. 17:24
한방적 효능
인삼의 한방적 효능은 중초약학에서 원기를 크게 보하고 
폐를 튼튼히 하며 비장을 좋게하고 심장을 편하게 하여 
준다고 했으며, 신농본초경에는 인삼은 오장 즉 간장, 
심장, 폐장, 신장, 비장의 양기를 돋구어 주는 주약으로 
사용하고 위장의기를 열어주며 곽란, 구토, 갈증을 
멎게하고 혈맥을 잘 통하게 하고 오래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많은 한의서에 인삼의 약효와 인삼 처방예가 
기술되어 있으며 최근 중국에서 제창한 인삼의 칠효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인삼의 7효설 [人蔘의 七效設]
1. 補氣救脫[보기구탈]
    심신의 기운을 돋구어 허약한 체질을 개선시키며 
    피로회복에 좋다. 
2. 益血復脈[익혈복맥]
    몸 안에서의 혈액생성을 왕성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고르게 하며 신체의 기능이나 발육을 개선시킨다. 
3. 養心安神[양심안신]
    마음을 편안하게 정신을 안정시킴으로써 
    심장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신경쇠약, 노이로제,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이다. 
4. 生津止渴[생진지갈]
    체액을 보충하여 갈증을 해소케하고, 
    비장기능 강화와 당뇨병에 좋다. 
5. 輔肺定喘[보폐정천]
    폐의 기능을 보호하여 기침을 멈추게하고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를 돕는다. 
6. 健脾止瀉[건비지사]
    위장을 튼튼히 하여 식욕을 촉진시키며 
    설사를 멈추게하고 위장기능을 강화한다. 
7. 托毒合瘡[탁독합창]
    채내의 독을 제거하여 거친피부를 곱게하는 
    피부병에 좋고, 종기를 삭히므로 
    제독 및 저항력을 증진시켜 준다. 
현대 의학적 효능
인삼을 "신비의 영약"이라고 부르는 것은 옛부터 
많은 질병을 치료해 왔을 뿐만 아니 라 현대의
약으로서도 치료하기 어려운 난치병에도 
효험을 발휘하는 인삼의 효능때문이다.
인삼의 효능은 수천년 동안의 자료를 집대성한 
한방의서에 의하면 지구력과 신체의 활력을 
증진시키고 피로와 두통을 예방하며, 식욕부진과 
불면증을 치료하고, 육체적, 정신적 능력을 
증대시키며, 신체 기능의조화를 가져 오고, 
생리적 균형을 유지하며,질병과 노쇠현상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한다고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효과를 종합하여 간단히 설명한 것이
앞에서 설명한 인삼 7효 설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삼 효능에 대하여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이 인삼의 새로운 유효성분과 
그 약리적 기능을 탐구하기 위하여 
여러 측면에서 광범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으며, 
이제까지 과학적으로 밝혀진 효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과학적으로 신비의 약효를 완전히 
밝혀내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며 
앞으로 계속 연구 발전시켜야 할 과제라 하겠다. 
항 당뇨 작용과 당뇨병에 대한 임상효능
당뇨병 환자에게 홍삼을 투여하면 환자에 따라서 혈당량에 저하되거나, 
인슐린 치료 환자는 투여량 감소조절이 가능했으며 특히, 
자각증상으로 현기증 어깨결림, 흉부압박감, 갈증, 전신, 권태감, 
머리가 무거운 증상등이 크게 개선되었다는 임상연구 결과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조 준승교수, 일본 에히메 의과대학 오꾸다 교수, 
일본 오사카 닛세이 병원 야마모도박사, 일본 시립 야하따오마 종합병원의 
요시다 박사등에 의하여 발표되었다.
에히메대 의학부 생화학교수인 오꾸다 박사는 최근연구에서 
'고려홍삼이 당뇨병의 치료에 특허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오꾸다 박사에 따르면, 고려홍삼에 포함된 아데노신과 파이로글루타민산이 
당뇨병 치료에 필요한 인슈린 분비를 현저히 증강시킨다는 것이다. 
오쿠다박사는 또 '고려홍삼이 몸세혈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당뇨병 환자가 
흔히 걸리기 쉬운 동맥경화' 등의 증상을 예방시켜 줌으로써,
당료병 치료에는 천혜의 약이라고 밝혔다.
일본 도마야 대학의 기무라 교수는 1980년 제 3회 국제 인삼심포지엄에서 
홍삼으로부터 혈당강하성분 (DPG3-2) 을 분리하여 동물실험을 통하여 
이 성분이 인슈린 분비 촉진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일본의 요코자와 등은 당뇨가 있는 쥐에 인삼 사포닌을 투여한 결과, 
혈당치가 떨어지고 당뇨증상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1988제 5회 국제 인삼심포지엄에서 발표하였다. 
당뇨병을 완치하신 분들의 복용체험사례 요약 
    복용 제품명 : 홍삼정 또는 홍삼정 골드 
    복용량 : 1일 3회에서 4회 1회 4~5g 
    복용 기간 : 2~5개월(각자의 병력 및 혈당치에 따라다름) 치료기간중 준수 사항 
        - 의사가 지시한 식이요법을 지킬것
        - 홍삼정 복용기간은 육시과 주류를 금할 것(육류, 술, 우유) 
        - 체력에 알맞은 운동을 계속 할 것 
항 발암 작용과 암 예방 효과
고려홍삼에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며 인슐린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물질(acidic peptide, adenosine, pyroglutamic acid 등)
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1995년 한일 고려 인삼 학술대회에서 윤택구 박사는 원자력병원 
암센터를 찾아온 암환자 905명 및 1987 명과 인삼 주산지인 
강화지방 40세 이상 주민 4533명을 대상으로 인삼을 복용한 사람과 
인삼을 한 번도 복용하지 않은 사람의 암 발생 빈도를 역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인삼을 복용한 사람들의 암발생 빈도는 인삼을 복용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절반 이하로 크게 낮았다고 밝혔다. 
이 조사에 따르면 인삼을 복용한 사람들의 34% ,폐암27% 에 불과했다. 
흡연자의 경우 폐암 , 구강암, 후두암, 간암, 등에 걸린 확률도 
현저히 낮았다고 발표하였다. 
또 윤택구 박사는 1950년대 후반부터 암에 대한 화학요법, 면역요법, 
병행요법, 등 실험적 및 역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홍삼이 항발암 작용과 
암예방 효과를 보이는 기능식품임이 증명되었다고 발표하였다. 
또 암부위별로 볼 때 입술, 구강 및 인후암, 식도암, 위암, 장암, 간암, 
췌장암, 후두암, 난소암등 거의 모든 암에서 예방효과가 있었다고 
하였으며, 홍삼복용이 어떻게 거의 모든 암 발생을 예방 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지만, 홍삼은 암의 1차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암발생 과정의 초기단계에 효과가 있을지 모른다고 하였다. 
특히 공해물질과 환경성 발암물질인 벤조피렌투여로 발생하는 
폐선종자극을 지표로 인삼 종류에 따른 항발암 활성을 조사한 결과 
수삼이나 백삼보다 홍삼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장기 복용 할 수록 암 발생 위험이 낮은것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하였다.
  • 일본 구마모도 대학 약학부의 우에키 교수는 1961년 117가지의 
    생약제들에 대한 항암효과를 검토한 결과, 고려홍삼이 에를리히 
    복수 함세포에 대해 항암효과를 나타낸다고 발표하였다. 
    
  • 한국 원자력병원장 윤택구 박사는 1987년 9월 제 8차 아시아 태평양 암학회 학술대회에서 '홍삼이 항암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이란 연구 논문발표를 통해 폐암에 걸린 생쥐를 대상으로 1년간 걸쳐 고려홍삼을 투여, 연구실험을 실시한 결과 홍삼이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생체내 자연살해세포(Natual Killer cell)의 활성증진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였다.
  • 항암제인 사이클로포스파미드 (Cyclophoshamide) 투여시, 부작용으로 야기되는 백혈구 감소증을 홍삼을 함께 투영한 결과, 현저히 억제 할 수 있었다고 충남대학교의 의대 전현 교수가 발표하였다. (1983년 충남의대 잡지 10(1))
  • 서울대 노현모교수 (분자 생물학과)는 홍삼에서 인체의 노화를 억제하고 암 등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진세노사이드(Rb2(g-Rb2)성분을 검출 해 냈다고 밝혔다. 이 성분은 체내 대사활동이 부산물로 생기는 유해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SOD(슈퍼 옥사이드 디스뮤타제) , 유전자를 도와 세포파괴로 노화가 촉진되거나, 돌연변이로 암 등의 질병에 거리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고 발표하였다.
  • 일본의 긴끼대학 동양의학연구소 오다시마 박사와 히시야마 교수는 종양이 악성으로 전이되는 것을 홍삼성분이 막아주며, 직장암, 유방암, 위암, 난소암 등 각종 암환자의 수술후 재발을 방지하고, 수술후 회복 촉진시켜준다는 것을 임상실험으로 확인하였다고 발표하였다. (1979 Experientia, 35)
  • 복수암 환자에 홍삼사포닌을 투여하여 조기회복 효과를 규명하였다고 일본의 긴끼 대학의 아라찌 교수도 발표하였다.
  • 인삼사포닌 중 Rh2는 홍삼 제조시 생성되는 특유물질로서 극히 미량으로도 암세포 증직을 현저히 억제하였다고 오사카 대학 약학부 키타카와 교수가 발표하였다.
  • 한국인삼연초연구소의 김신일 박사와 충남 대학교 약학대학 안병준 교수는 공동연구를 통해 인삼의 지용성 성분이 쥐의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효가를 나타냈다고 하였다. 이 성분들은 파나시돌( panaxydol ) 파낙시트리올 (Panaxytriol)등으로서 백혈병을 일으키는 암세포 ( L1210) 에 대한 강한 증식 억제 작용을 보였다고 했다. 특히 Panaxytriol은 홍삼 제조시 생성되는것으로 Katano 등은 수종의 인체 암세포의 성장도 억제시킨다고 1988년 제 5차 국제 인삼심포지움에서 발표하였다.
  • 윤택구 박사는 홍삼정분을 쥐 및 토끼에 장기간 (25주~28주) 투여한 결과 각종 화학적 발암물질에 의한 종양발생과 증식에 크게 억제됨을 병리 조직학적 검색을 통하여 확인한 바 있다. (제 3회 인삼 국제 심포지엄 1980년)
  • 스웨덴의 화학자로서 40세인 트루한센은 감암으로 한때 치유의 희망을 포기하였으나, 고대기록과 동양문헌에서 힌트를 얻어 신경 안정 치료이외의 모든 병원치료를 중단하고 수 개월 동안 하루 1회씩 한 숫가락의 건강음료와 4캡술의 고려홍삼, 10알의 스카닐라 (일종의 무기질 내과약품)를 복용한 결과 전문의사까지도 믿을 수 있는 없을 만한 상태로 완쾌되었다. 그는 그후 자연약초요법, 특히 고려인삼에 대한 사고방식을 바꾸었다고 한다. (Skovde: 스웨덴 79,10.7)
성기능 장애 개선 효과와 강정 효능
 
  • 발기부전증 치료효과 
    연세대 영동세브란스 병원 최형기 교수는 홍삼이 남성의 발기부전증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최 교수는 발기부전증으로 이 병원을 
    찾은 환자 90명을 A,B 두 집단으로 나누어 홍삼( 홍삼 타브렛)과 
    트라조돈 (발기촉진제)을 5개월간 투여하고 치료효과를 측정한 결과 
    홍삼을 복용한 집단은 60%가 발기부전에 대한 치료효과가 나타났으나, 
    트라조단을 복용한 집단의 경우 30%만이 호전되어 발기부전 치료는 
    홍삼의 치료효과가 기존의 치료제인 트라조단 보다 두배나 높다고 발표하였다. 
    최교수는 홍삼이 긴장완화와 스트레스 해소로 성호르몬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음경내 혈류를 증가시켜 발기부전을 근본적으로 치료한다고 하였으며, 
    특히 홍삼은 기존 치료제와는 달리 만성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것이 
    큰 장점이라 평가하였다. 
  • 남성 불임증 치료효과 고베대 의대 비뇨기과의 이시카미교수는 '정자결핍증'의 남자환자 29명 (5명의 무정자증) 을 대상으로 고려홍삼에서 추출한 성분을 투여한 결과 무정자증을 제외한 24명이 모두 정자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운동률도 70%에 달했다고 말했다. 남성이 여성을 임신시키기 위해서는 1회 사정으로 약 4천 5백만이상, 정자운동룰 60% 이상이어야 하나 그 이하이면 흔히 정자결핍증으로 인정되고있다. 이키시마 교수는 연구를 통해 '고려홍삼' 에는 고환에서의 세포분열을 촉진시키고 , 정자 생산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가진 물질이 있는것 같다고 밝혔다. 야마도토 박사팀은 홍삼 추출물을 흰쥐에게 투여하여 고환에서 DNA 및 단백질 합성 증진효과를 확인하고 이와같은 사실은 홍삼이 정자형성을 증진시킨다는 증거라고 발표하였다.
노화 방지 효과
서울대학교 생약연구소의 한 병훈 교수는 홍삼에서 수종의 폐놀성 화합물과 
말틀성분의 존재를 밝혀내고 이들 성분은 노화방지 및 노화 억제 효과 
뿐만 아니라, 항피로 효과도 있다고 발표하였다. 
런던의 첼시아(Chelsea) 대학 Bittels교수는 체내에 홍삼을 투여하게 되면 
인체내부 기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켜주며, 혐기적 대사에 
견딜 수 있도록 기능을 회복시켜 주기때문에 노화를 막아주겠다 했다.
(Gerontology1981) 연세 대학교 조 영동 교수는 홍삼 추출물이 노화억제 
관련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켜 노화를 지연시킨다고 발표했다.
대전 한방병원 강 석균 박사는 '인삼이 어떻게 좋은가'에서 
인삼에는 미량원소로서 구리 코발트, 비소,게르마늄, 인, 알루미늄 등이 
포함되어 세포독성을 통하여 노화되는 세포가 신생세포로 바뀌는 것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함암작용에 특효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현대인이 가장 많이 느끼는 스트레스성 자극을 인삼은 부신피질기능을 
흥분시켜 생체저항력을 높혀 이를 해소시키고 있다. 
또 성기능 증강과 강심작용으로 심장의 수축력을 높인다. 
옛날부터 인삼을 많이 먹으면, 임종시 고통을 많이 받는다는 말은 
인삼이 심장을 튼튼하게 하는 강심작용의 영향때문이다. 
혈당치가 올라가는 당뇨병 환자에겐 혈당을 내려주며 소호흡수가 잘되어 
식욕을 증진하며 신진대사를 높혀준다. 
중년이후에 많이 나타나는 성인병중에 하나인 동맥경화증, 고혈압을 
야기시키는 우리 핏속의 지방질을 저하시켜 예방의 효과가 또한 크다. 
과음후에 오는 숙취, 간장의 무리한 해독을 막아주며, 소염, 진통, 빈혈,
위기능약화, 불면증, 혈압조절작용, 임산부의 산전산후, 쇠약증세, 
갱년기장애에 좋다고 하였다. 
피로회복 및 지구력 증진효과
구 소련의 세계적인 약리학자인 브레크만 박사는 흰쥐에게 일정시간 동안 
수영훈련을 시킨다음, 훈려된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만 
홍삼 엑기스를 투여하고 쥐들의 수영능력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홍삼을 투여하지않은 그룹의 수영시간이 46~67분인데 비해 
홍삼을 투여한 그룹은 96분~111분인이었으며, 실험중 취사율은 
홍삼을 투여하지 않은 그룹이 20마리중 8마리가 익사한 반면 , 
홍삼 투여군은 4마리 밖에 익사하지 않은것으로 보아 홍삼엑기스 투여는 
피로회복과 탁월한 운동 지구력 효과를 나타내었다. 
(berdkman 인삼문헌 특집 1974년) 
스페인 Leon대학의 Prito교수는 고려홍삼분말을 흰쥐에 투여하고 
지칠때까지 운동을 시킨후 , 피로회복과 근육손상에 미치는 홍삼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홍삼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운동시간이 
훨씬 연장되었으며, 적혈구의 삼투 저항성과 망상 적혈구가 증가 되었다.
또 운동으로 인한 간의 글리코겐 함량의 감소가 정상수준으로 회복되는것을 
촉진시켰으며 탈진상태에서 운동을 하였을때 야기될 수 있는 근육조직의 
손상을 방어해 주었다. 이는 홍삼이 피로를 방지하는데 유용한 효과가 있음을 
실험적으로 관찰한 것이었다. 
두뇌 활동 촉진
구 러시아 체르넨코 박사는 홍삼이 두뇌활동에 미치는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쇄공들의 활자 고르기 작업을 이용하였다. 
활자공들을 A, B, C 의 세그룹으로 나누어 이들 모두에게 활자를 
가득 담은 상자를 주고 1시간 동안 그 중에서 특정한 2종류의 활자만을 
골라나게 한후 A그룹에는 알코올을 B그룹에게는 포도당액을 C그룹에게는 
홍삼 분말을 복용시켜 1시간을 더 작업하게 하였다.
A그룹은 46% B그룹은 16%의 착오가 있었는데, 홍삼분말을 복용한 
C그룹은착오가 거의 없었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오전 11시부터 
그 이튿날 아침까지 철야로 같은 작업을 시켜보았다. 
이결과에서도 홍삼을 복용하지 않은 사람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데 반하여, 
홍삼 복용자는 약간의 저하가 있었을 뿐 작업을 계속 할 수 있었다.
이것은 홍삼이 체력을 보강하여 지구력을 높혀주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다는것을 알 수 있다. 
유명한 인삼 연구학자인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생리연구소의 페트코프 박사는 
30년간 인삼연구결과 고려인삼이 기억력증진과 학습능력 촉진에 매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고 약물이나, 전기 충격 스트레스로 일어나는 기억력 감퇴를 
방어해주는 항건망증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다른 뇌기능 개선 약물과 
인삼을 병용 했을 때 그 효과가 더욱 상승된다고 하였다.
또 인삼이 육체적 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인삼은 두뇌활동을 강화하면서 학습능력및 기억력을 증진시키며 (국제 장수 
학회 스위스 루가노 1975) 지식습득과 기억력뿐 아니라 행동능력을 개선한다고 
함으로서 고려인삼은 머리를 좋게 해 주는 약 이라 하였다. 
(국제 인삼세미나 도쿄 1989;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1989) 
이탈리아 파비아 대학 약리학 교실의 LD`Angelo 교수등은 20~ 24 세의 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정신운동에 미치는 홍삼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대학생들을 고려홍삼 투여군 (16명)과 유당을 투여한 위약군 (16명)으로 나누어 
3개월간 동안 투여한 결과 , 홍삼 투여군이 위약군보다 단위 시간당 올바른 
선택수의 증가 , 주의력 및 암산능력의 호전을 보여 홍삼 성분이 전신운동 
수행능력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Jounal of Enthophamacollgy 1986) 
홍삼은 두뇌활동을 촉진 할 뿐 아니라 지적활동 자체를 
향상시켜 준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미로장치를 만들어 흰쥐의 판별능력을 실험한 결과를 알아보면, 
먼저 흰쥐에게 출발점의 문을 여는 방법과 미로를 빠져나가는 방법, 
도착점의 문을 여는 방법 등을 학습시겼다. 
그리고 홍삼 복용그룹과 비복용그룹으로 나누어 출발점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한 시간 , 위치의 식별능력 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 비 복용 그룹은 학습 할 때의 상태와 변함이 없었는데 비해 
홍삼 복용그룹은 모두 시간이 단축되고 식별도 정확하였다. 
이것은 홍삼이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기억과 식별능력을 높힌 결과이다. 
(신비의 고려인삼, 이런 효능이 있다, 홍문화 박사) 
고혈압에 대한 효과
일본의 이마무라 박사는 고혈압으로 고생하는 환자 19명에게 
고혈압 치료제외에 홍삼을 매월 3개월간 투여한 결과 수축기 혈압이 
현저히 감소되고 불면, 갈증, 피로감 등이 사라지고 성생활등 환자의89% 가 
생활상태가 현저히 개선되었다고 1988년 제5차 국제 인삼심포지엄에서 보고하였다.
  • 중앙대학교 이 광수 교수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의 강 두희 교수는 
    인삼 사포닌이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키는 성분과 강화시키는 성분이 
    함께 들어있다고 발표하였다. 
    (Yonsei MedicalJ,19(2) 1978)
    
  • 건강한 사람과 고혈압 환장에게 고려홍삼을 1일 3~6g씩 단기 및 장기적으로 
    투여한 결과 고혈압 환자의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이 저하되었다고 
    일본 공산 적십자 병원에서 노마요시 니시야마 교수가 발표하였다. 
혈액순환개선효과 및 노인성치매효과
서울 대학교 약학대 김낙두 교수는 홍삼을 투여한 흰쥐와 투여하지 않은 
쥐의 심장을 띄어내어 시간 경과에 따른 수축력 퇴화를 비교, 관찰한 결과 ,
홍삼을 투여한 쥐의 심장이 더 오래 지속되고 있는것을 확인하였다.
성인병인 혈전증과 동맥경화증성 질환이 매우 중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질환의 유발과 진전에는 혈소판 기능이 크게 관여하고 있어, 
항혈소판 (혈전 생성 억제) 작용이 있는 약제의 개발이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일본의 지바 대학의 다무라 교수는 고려홍삼 성분인 ginsenoside_Rg1 이 
매우 강력한 항 혈소판 작용이 있음을 밝혔으며, 
그후 인삼은 항혈소판제로서의 유용성이 크게 주목된다.
노인성 치매 효과 
일본 에히미 대학 해부학 교수인 사가나가 교수팀은 노인성 치매증에 대한 
고려홍삼의 유효성을 발표하였다. 뇌로 통하는 혈관을 일시적으로 묶으면 
뇌혈류가 차단되어 뇌 부위중 기억,학습에 가장 중요한 생리기능을 담당하는 
뇌노직 부위가 죽게 되는데 홍삼과 사포닌을 미리 투여한 경우 이러한 장애를 
현저히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뇌혈관 장애로 일어나는 동물의 학습행동장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홍삼이 혈관성 치매를 비롯한 
뇌경색의 진전개발에 대해 유효하다고 발표하였다. 
( 약용인삼 1995:제10회 약용인삼연구회 발표 요약집,1995) 
일본 동경대학의 유명한 약리학 교수인 사이토 교수는 고려홍삼의 중요 사포닌 
성분인 Gisenoside Rg1이 기억, 학습에 유효하고 
추후 노인성치매 치료약으로서 연구가 발전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출처 : 왕인탕제원
글쓴이 : MP순돌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