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르포| 한국화가 김충식 아틀리에 ①]
수목의 계절 대기의 시간 그 깊은 담화
낙엽사이 흐르는 선율처럼 가을비가 잔바람에 가벼이 흔들리며 내리던 날 이었다. 중부고속도로 곤지암을 지나 경기도 광주시내로 들어갔다. 다시 거기서 자동차로 20여분을 더 달렸을까. 구불구불한 길을 지날 즈음, 커다란 목을 길게 빼고 높은 지대(地帶) 밭둑에 서서 물기 머금은 풋풋한 얼굴로 낯선 이의 모습이 생경(生硬)한 듯 바라보는 꽃이 있었다. 몇 코스모스였다.
한국화가 김충식(61) 작가의 화실과 집이 나란히 배치된 가옥은 논밭을 지난 맨 끝 집이었다. 집 2층 거실은 그야말로 바로 뒷산자락이었다. 여름 내내 자란 녹음 우거진 숲은 비 그친 오후시간 어스름한 느낌마저 들었다.
사월 부르는 노래, 한지에 수묵담채 45×70㎝, 2002
작가는 “산기슭에 집과 작업실을 꾸며 이곳에 들어 온지도 벌써 이십여 년이 넘었다. 자연을 가슴에 담아 두고 틈만 나면 산과 들을 사생(寫生)하고 다녔지만 서울생활은 늘 자연에 살고 싶은 갈증이 있었다. 이곳에선 들과 나무와 풀들이 계절을 알려 주고 바람과 공기와 햇빛이 시간의 흐름을 전해준다”라고 했다.
작품 명제(命題)에 자주 등장하는 ‘아름다운 방도리’ 바로 그 마을이다.
아름다운 시월, 135×165㎝ 2003
코스모스와 설경은 내 기억의 아름다운 승화
작가의 고향은 충북 보은군 보은읍 누청리라는 농촌마을이다. 농사짓는 부모님 밑에서 산과 들과 강을 옆에 두고 살았다고 했다. 어려서 그림을 좋아 했으며 방과 후에는 그림을 그렸다.
“코스모스는 어렸을 때의 기억이다. 중학교 시절 등하교 길을 코스모스 길로 가꾸는 캠페인 같은 것을 했었다. 이른 아침등교 길, 안개 자욱한 속에서 해맑게 피어난 코스모스가 가벼이 흔들리던 아름다운 기억이 있다. 그런 때 가을이 왔다. 코스모스는 가을의 전령사였던 것이다.”
방도리에서 보낸 연가, 136×176㎝ 2005
이러한 아름다운 기억을 코스모스라는 소재를 통해서 나타낸다. 지난 1989년 첫 개인전부터 지금까지 소재는 조금씩 달라도 코스모스는 꼭 한 두 점 발표했다. “코스모스는 일생(一生)의 소재다. 내 삶을 아름다움으로 승화(昇華)하고 싶은 이야기”라고 했다.
작가는 설경작품에 대해 “눈(雪)이라는 소재와 한국화의 여백(餘白)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조형언어다. 서로 다른 이야기를 담을 수 있고 세상 모든 이야기를 덮을 수도 있고 눈이 녹으면서 하나씩 꺼낼 수도 있다. 그러나 잊지 않아야 할 것은 여백이 전하는 ‘비움’의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르포|한국화가 김충식 아틀리에 ②]
화선지, 철학과 혼의 대지여!
김충식(金忠植)화백 뒤편이 작업실이다. 정원의 가을비를 맞은 항아리의 색깔이 유난히 깊고 깨끗하게 빛났다.
화선지는 대지와 같다. 붓에 물기가 많으면 번지고, 적으면 먹물을 슬쩍 묻힌 갈필(渴筆)로 남긴다. 화선지는 눈(雪)과 비를 흡수하며 생명을 잉태시키는 것이다.
“화선지는 번짐이고 붓은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화가는 흐리게 묽게 등 이들을 어떻게 만나게 해 주는가의 조율사로 붓이나 종이의 가장 좋은 특징을 써야한다는 원칙과 다름 아니다. 곧 화선지라는 대지를 경작하는 철학과 혼(魂)을 받아들여 작품을 길러내는 것이다.”
섣달 스무날의 방도리, 144×363㎝ 한지에 수묵담채, 2002
작가는 겨울의 눈과 습한 기후의 무드가 있는 분위기를 사랑한다. 매년 반복되는 화실 앞 논의 짚가리를 아끼고 사랑한다. 농부의 한해 수확으로 쌓인 모습. “생활 속에서 실천하고 노력하는 나에겐 더 없는 최고의 조형언어”라고 말했다.
모씨네 방앗간의 이야기, 34×86㎝ 2005
작가의 미술교육핵심, ‘미술적 사고’
홍익대 교육대학원과 단국대 조형대학원에서 미술학 박사학위를 받은 작가는 미술교육강의를 중시하고 특히 미술의 본질을 이해시키려 하는 그의 교육핵심으로 ‘미술적 사고’를 강조한다.
“미술은 감상소비교육이다. 우리나라는 유치원서부터 생산교육을 한다. 만들고 그리고…. 그런데 실제 미술생산자로 갈 사람은 그 중에서 0.1도 안될 것이다. 그런데도 생산교육만 시킨다. 소비교육을 시켜한다. 미술시간에 즐기고 노는 시간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것은 유치원뿐만 아니라 중고교 과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생산교육은 미술대학만으로도 충분하다.”
작가는 “처음 그림을 그릴 때 가장 두려워하였던 기억이 새롭다. 지금은 화선지에 빨려 들어감을 즐기지만 붓이 닿기가 무섭게 번지는 화선지가 두렵게 느껴졌던 기억이 생각난다”고 했다. 그만큼 화선지가 어떤 용지보다 예민하다는 것인데 “그러나 다른 종이 보다 얇지만 먹의 농담(濃淡)과 만날 때 매우 두꺼움과 깊음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화백은 “이 세상의 모든 것은 표준이나 기준을 만들어 내는 것인데 그것을 뒤집는, 곧 창의적인 생각을 길러내는 것이 미술”이라고 했다. 다른 사람처럼 생각하지 말고 ‘내’가 무엇을 잘 하는지를 발견해 내라고 강조했는데 “그것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인식”이라고 전했다.
[르포|한국화가 김충식 아틀리에 ③]
허와 무의 여백 그 공존의 승화
따끈한 홍차 한 잔의 일품 맛을 이야기하며 작가는 함박웃음을 지었다. “만물의 이치가 하나이듯 선(線)들은 다른 선들에 의해 변화를 맞이하고 포용 한다”는 그는 “선을 이용한 감정의 표현이 한국화 기법의 주류를 이루게 된다”고 말했다.
“작품을 창고 속에 쌓아놓는 것이 아니라 내가 이야기하고 싶은 목적으로 늘 나의 작품을 전시장에 내보내어 관객과 대화를 나누게 한다. 이것이 나의 그림이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이다.”
현재 개인전 38회가 말해주듯 작가는 전시를 많이 해 왔다. 그렇기 때문에 거의 일 년 내내 전시가 이어져 경비가 오히려 만만치 않게 들어간다. 그는 기분이 좋으면 며칠 만에 그림이 탄생하기도 하고 어떤 작품은 풀리지 않으면 그냥 두었다가 때가 되면 다시 붓을 들어 3년 만에 탄생하는 작품도 있다. 그만큼 김 화백의 작품은 안온하게 느껴져 온다.
“그림을 억지로 그리지 않으려 한다. 그림이 조금이라도 막히면 나는 붓을 대지 않는다. 순탄하게 순리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억지스러움이 없어야 하는데 그런 편안함이 아름다움이다”라고 했다.
꿈, 90×34㎝ 한지에 수묵담채, 2012
그는 허(虛)와 무(無)의 커다란 의미인 우주적 개념의 시간적 공간적 자리를 마련하려는 시각적 조형언어로서 여백정신을 한참동안 강조했다. 우리적인 정서가 가장 적극적으로 표현된 여유와 여지의 공간이라는 것이다.
“포근하고 부드러우며 낭만적인 여백사상은 우리의 생활 곳곳에 정신적 감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모든 이의 가슴속에 내재되어 있는 부드러움과 포근함이라는 감성을 나는 시각화시키려 한다.”
꿈, 40×60㎝, 2007
심성의 순화, 한국화 시대 반드시 올 것
“각박해 가는 심성을 새로운 정신적 순화로 창출하는 것에 한국화의 정신적 승화표현이 좋은 기운(氣運)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때문에 한국화를 올바르게 중흥시키는 것이다.
바르게 알리고 교육적으로나 작품으로나 우리나라 그림을 세계적 그림으로 만들어야 한다. 나는 할 수 있다는 믿음이 늘 솟는다. 한국화시대가 반드시 올 것이라 확신한다.”
나비로 놀다, 32.5×82.5㎝, 2011
그는 “자신의 내면에 흐르고 있는 감성, 생활 속에 녹아있는 우리의 정서, 이런 친숙한 생활양식과 정감이 표현으로 녹아있는 한국화를 더욱 기초와 본질적인 뿌리를 찾는 표현에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 이코노믹리뷰
...
행복한 오후, 60x30cm 도판위에 유약 재벌 굽기
설경雪景
꿈-마을
방도리 이야기
'한국 화 (동양 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투전`. 성협(成夾).김득신(金得臣).김준근(金俊根) / 강병관 (0) | 2013.11.11 |
---|---|
[스크랩] <내숭>. 한국화가 김현정 (0) | 2013.11.11 |
[스크랩] 혜원 신윤복의 그림 (0) | 2013.11.11 |
[스크랩] 한국화 그리기 기초 (0) | 2013.10.21 |
[스크랩] 재중동포 화가 림룡순의 작품감상 (0) | 201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