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과 소
"기축년 (己丑年) 소띠의 해"
이중섭의 그림을 보고 그야말로 한 눈에 삘이 꽂힌
맥타가트는 이중섭을 직접 만나길 원했다.
이중섭의 친구인 최태응의 중재로 자리을 같이 한 자리에서
맥타가트는 "당신의 그림은 훌륭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그런데 당신의 황소는
꼭 스페인 투우와 같이 무섭더군요."라고 평을 했다.
이에 이중섭은
"뭐요??? 투우라고?? 내가 그린 소는 그런, 싸우는 소가 아니고
착하고 고생하는 소, 소중에서도 한국의 소란 말이우다!!!"
화가 난 이 중섭은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나왔고
몇날 몇일은 어린 아이처럼 엉엉 울었다.
"이제까지 보고 그리고 보고 그린 소를 스페인 투우에 비교하다니
내 그림이 그렇게 보이면 나는 다 틀렸어..."라며 절망했다.
우여곡절 끝에 개인전이 열리고
<대구매일신문>에 맥타가트가 이중섭의 그림을
호평했음에도 불구하고
맥타가트가 예약하고 그림을 사려고 할 때
이중섭은 단호하게 응하지 않았다.
그래서 최태응을 통해 몰래 사 갔다는 일화가 있다.
떠 받으려는 소
1953-54년 경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 회색조의 배경에
검고 희 붓질로 된 득의의 작품이다.
여기에서 검은 빛과 흰빛을 아울러 추사체와 같은 붓질로 여겨진다.
특히 머리와 꼬리 부분의 표현이 강하다.
초기의 정겹던 소의 모습은 사라지고 거칠게 변화덩그림.
이외에도 <노을 앞에서 울부짖는 소>, <떠받으려는 소> 등이 있다.
초기의 황소그림은 민족적이고 신화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으나
전쟁과 가족의 이별, 그리고 화가로써 성공하지 못한 것에 대한 자책감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개인적인 아픔을 표현하는 자전적인 소재로 변화된것같다.
그러므로 이 <흰 소>는 이중섭의 자화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지...
소 1956년 무렵

소
 싸우는 소
강요에 영향을 받은듯..창작의 표현이 아무래도 규제가 심한
그의 예능적 표현을 갈구했기 때문은 아닐까?
황소 1953년 무렵
노을앞에서 울부짖는 소
용을 쓰는 흰 소
흰 소
소와 어린이
어린아이와 있는 소가 거칠어 보이지만 아이는
신화적인 성향을 보인다. 이 그림은 1941년에 엽서에 그린 그림입니다.
망아지에 탄 두 남자 중 한 남자를 소가 뿔로 쳐서 밀어내려고 하자 다른 한 남자가 만족스러워하며 소를 쓰다듬는 광경이 담겨 있는 그림으로 소의 모습이 왠지 정겹고 유머러스 하다. 색도 따뜻하고
부드러운색을 보편적으로 쓰고 있다
높고 뚜렷하고 참된 숨결 나려 나려
이제 여기에 고웁게 나려 두북두북 쌓이고 철철 넘치소서.
삶은 외롭고
서글프고 그리운 것 아름답도다 여기에 맑게 두 눈 열고 가슴 환히 헤치다 당시 이 시를 본 이중섭의 조카가 "삼촌 시도 써요?" 하니까 이중섭 왈 "그냥 소가 말한 걸 옮겨적었지.." 한다. 조카가 웃으며 "소가 조선말을 참 잘 하네요" 하니까 이중섭은 "조선 소니까.."라고 한다. 그리고 덧붙인다. "근데 소눈이 예전 같지가 않아 전쟁을 겪어서 그런지 흐려졌어
소는 이중섭에게 운명적인 오브제였던 것이다.
 재료 및 크기 모름 원작 망실 1940년
1940년 제4회 지유텐 출품작 원작망실
1940년 6월 22일 조선일보에 게재된 그림

반우반어. 1940년 말

말과 소를 부리는 사람들
1941년 3월 30일
1942년 8월 8일
소가 사람을 치고 있다고는 하지마 소와 행복하게 어울어진 모습처럼 보인다.
1941년 제1회 조선신미술가협회전 출품
이중섭 (1916년 ~1956년) 출생지 : 평양
이중섭은 소를 그리기 위해 하루종일 들에 나가 소를 관찰했다고 한다.고향인 오산에서 시작된 소에 대한 탐구는, 사업을 하는 형을 따라 생활하게된 원산에서도 이어진다.
원산 송도원 부근의 농부들이 날마다 나타나서 하루 해가 저물도록 소를 보고 있던 중섭을 처음에는 소 도둑인 줄 알고 고발한 일도 있었다.
어떤 농부는 그를 미친놈이라고 쫓기도 하고 아마도 소 도둑이나 소 백정에 미쳐서 소 옆에만 나와 있을 거라는 소문이 있었다.
사물은 그것을 객체로 대하는 동안 곧 혐오감이 생기거나 싫증이 생기는 것이다. 그럴 경우 사물과 사물 관계자는 절연되는 있다. 그 절연을 어떤 인식이나 사랑,지혜를 통해서 극복하고 사물을 자기화하는 것이 가장 깊은 철학이며 가장 좋은 문학이고 예술인 것이다.
이중섭은 그런 일을 해낸 것이다. 누구나 그렇게 되기란 불가능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