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황토방을 만들때 방바닥 흙미장하는 방법을 모르는 분을 위하여 방바닥 흙미장하는 방법을 올립니다.
구둘을 시공하고 흙미장을 할때는 구둘장깔고 구둘장사이 틈새를 구둘장남은것이나 쇄석으로 밑으로 빠지지 않게 잘끼우고 볏짚을 5~10cm정도 썰어 황토와 볏짚 비율을 3~4/1정도로 잘이개어 구둘장과 구둘장 이음새 즉 쇄석을 끼운곳을 손으로 흙을 치듯이 메워갑니다.
이방법을 거미줄친다 고도 합니다. 흙을 메꾸어 놓고 보면 거미가 줄을 친듯이 보인다 해서 그렇게 부릅니다. 흙을 메울때 방바닥 가장지리 즉벽면 부위에는 고래뚝에는 구둘장을 절반정도 얹어서 놓아야 나중에 거미줄칠때 순전히 황토로 메꾸어 놓아야 연기가 새지 않습니다.
구둘장이 낮은곳 즉 아랫목은 구둘장 남은것이나 쇄석을 채워서 수평에 가깝게끔 맟추고 전체를 마른황토를 윗목구둘장 표면에서 흙이 약간 덮일정도로 기준을 삼고 수평으로 흙을 채웁니다. 보통여기서 황토를 잘못 시공하면 황토가 들고 일어나고 하는 문제의 시발점이 됩니다.
일반적인 방법은 짚넣은 황토를 미장흙손으로 펼수있는 정도의 물농도로 잘이개어 40~50mm정도 미장하고 건조를 시킵니다. 어느정도 건조되어 사람이 들어가 발자국이 약간 생길정도의 상태로 건조되면 황토를 채로 쳐서 모래와 6/4정도의 비율로 혼합하여 물로 잘이개어 (물과 혼합 비율은 미장시 흙손이 약간 힘을 주어 원활하게 펴질정면 됩니다. 물이 너무많아 질면 미장하기는 힘이 덜들어가는데 건조시 물이 너무많으면 크랙이 가고 잘못하면 건조시 황토가 뒤집어 집니다.) 10mm정도 미장합니다.
황토가 건조시간이 많이 걸리니 2~3일정도 자연건조시킨뒤 불을 은근히 때어 가면서 한며칠 말리면 됩니다.
마지막 황토미장은 약간의 다른재료가 필요합니다. 제일 좋은방법은 자연산 접착물질인 도박이나 우무가사리 끓인물과 수사 (힘쌀재료 삼으로 만든 동아줄 찌꺼기)를 황토와 모래를 혼합하여 잘이개어 10mm정도 미장하면 표면이 깨끗하게 마무리 지을수가 있습니다.
자연산 접착물질을 구하기 어려우면 대체용으로 밀가루와 찹쌀가루를 2~3/1정도의 비율로 섞어 풀을 묽게 쑤어 사용해도 됩니다. 힘쌀재료를 구하기 어려우면 마대포등 섬유질천으로 천 올이 사이가 넓은것으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화확섬유보다 천연재료로된 섬유로 만든천이라야 좋고 올사이가 넓어야 그사이로 황토물이 올라와서 접착이 잘되고 마감황토와 접착이 원활해 건조시 황토가 뒤집어 지는 현상과 크랙을 잡아줍니다.
천은 두번째 황토미장시 황토를 흙손으로 면을 고른뒤 천을 깔고 흙속으로 잘눌러가면 서 문질러주면 황토물이 올라오며서 천이 붙습니다.
보일라 난방온돌을 황토 미장시에는 구둘황토 미장하는 방법으로 시공하면 실패할 확율이 높습니다. 보일라 난방온돌 황토미장시에는 난방호스 사이에 자갈을 채웁니다. 자갈이 난방호스 윗면보다 올라오지 않게 면을 고르고 황토미장을 2회로 나누어 시공합니다.
보일라 난방온돌 미장시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자연산 접착물질과 힘쌀재료를 처음부터 사용해야 합니다. 혼합방법은 황토 6 모래나 마사토 4정도의 비유로 혼합하고 자연산 접착물질로 잘이갭니다. 배합시 절대로 물을 타면 안됩니다. 접착물질로만 배합을 하여야 합니다.
농도는 역시 미장흙손이 약간 힘주어 면을 고를수 있게 하면 됩니다.
두께는 30mm정도로 하여 미장합니다. 미장후 그냥 건조 시키면 시간이 엄청 오래 걸리니 3~4일 정도 손가락을 눌러서 약간 뻑뻑할정도면 보일라를 중간정도 온도로 24시간 가동시켜서 어느정도 건조될때까지 며칠을 가동시켜야 합니다. 급속하게 난방하면 크랙이 많이 갈것같지만 힘쌀물질이 잡아 주기 때문에 생각처럼 많이 가지 않습니다.
사람이 들어가서 발자국이 생기지 않을정도로 건조되면 마감미장을 합니다.
황토배합 방법은 첫번째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배합하고 방바닥에 접착물질을 약간젖을 정도로 뿌리고 마감미장을 10mm정도로 하고 2~3일 정도 지난뒤 보일라를 약하게 24시간 가동하여 완전히 건조시킵니다. 건조시킬때 창호를 다열어 놓고 건조시켜야 실내의 습기가 황토벽면으로 전부흡수 하지 않고 밖으로 배출됩니다.
주의할점은 자연산 접착물질로 황토를 배합할때는 절대로 물이 타면 안됩니다.
접착물질로 배합을 하다 농도가 되직하거나 접착물질이 떨어지면 물을 타는데 물을 타면 실패의 원인이 됩니다.
경험상 2~3정도 흙미장 할려면 시간도 많이 걸리니 한번에 해결하는 방법은 흙배합시 힘쌀물질은 조금 많이 넣고 (확인 방법은 이갠흙을 바닥에 10mm정도 테스트용을 조금 펴서 흙손으로 미장해보면 힘쌀물질이 올이 붉어 지지 않을정도로 배합하여 한번에 40mm정도로 미장해도 약간의 잔크랙정도만 가고 강도나 접착상태 등도 아무런 지장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약간의 크랙이나 바닥처짐 현상이 있으면 그부위만 얇게 미장하여 면을 고르면 됩니다.
방바닥 황토미장시 황토의 질도 중요하니 붉은색나는 철분성분이 많이 섞인 황토나 점토성분이 강한 황토 알갱이가 많은 황토는 좋지 않습니다. 손으로 만져보면 콩알만한 덩어리가 있는데 문질러서 으깨어 보면 약간 딱딱하면서 점섬을 느낄수가 있습니다.
이런덩어리나 붉은색 황토는 방바닥 미장 황토는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미장후 건조과정에서 수분과 공기가 원활하게 빠져나가야 하는데 자체점성과 수분함량상태가 고르지 못해 건조과정 상태가 달라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됩니다. 이점 참고 하셔야 할겁니다.
|
'흙집(토담집)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구들 구조 6 - 굴뚝 개자리, 내굴길(연도) (0) | 2013.07.10 |
---|---|
[스크랩] 구들 구조 5 - 바람막이와 회굴(고래 개자리) (0) | 2013.07.10 |
[스크랩] 정선통나무집 4평 구들방 만들기 재료 구입비 (0) | 2013.07.10 |
[스크랩] 구들장 / 펄라이트 / 조경석 판매처 (0) | 2013.07.10 |
[스크랩] 천안 구들방 재료구입비(예상) (0) | 201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