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화 (동양 화)

[스크랩] 미인의 조건...삼박자 아홉마디 (동양화 읽는 법)

bizmoll 2013. 11. 29. 17:42

 


미인의 조건...삼박자 아홉마디
< 동양화 읽는 법 >

▲ 침어지미(沈魚之美)-서시완사(西施浣紗)

 

 ▲ 낙안지미(落雁之美)-소군출새(昭君出塞)

 

▲ 폐월지미(閉月之美)-초선배월(貂蟬拜月) 

 

▲ 수화지미(羞花之美)-귀비취주(貴妃醉酒)

 

※ 위의 인물화는 현대 중국화가 소옥전(蕭玉田)이 그린

 중국 사대미인(四大美人).

 

 예나 지금이나 미인(美人)은 사내들의 영원한 화두(話頭)다.

동양과 서양이라고 해서 다를 것도 없다.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어떤 유형을 미인으로 생각했을까.

그 기준을 들어봤다.

 

삼백(三白): 살결·이(齒)·손은 희어야 하고

삼흑(三黑): 눈동자와 눈썹, 머리(髮)는 검어야 한다.

 

삼홍(三紅): 입술과 손톱·뺨은 붉고

삼장(三長): 키와 머리(髮), 손가락은 길어야 하며

삼광(三廣): 가슴과 이마와 미간은 넓어야 한다.

 

삼협(三狹): 입·허리·발꿈치는 좁아야 하며

삼비(三肥): 팔과 허벅지와 젖가슴은 통통해야 한다.

 

삼세(三細): 손가락과 머리카락·입술은 가늘어야 하며

삼소(三小): 머리와 코와 턱은 작아야 한다.

 

그러고 보면 예나 지금이나 미(美)의 기준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어 보인다.

다만 삼비(三肥) 가운데 팔과 허벅지가 오동통해야 한다는데 대해

요즘 여성들은 동의하지 않을지 모르겠다.

 

머릿결은 흑발(黑髮)이어야 한다는 기준도 현대적 감각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인다.

거리에 나가보면 갈색·노란색·흰색 등 형형색색이다.

심지어 먼지털개에다 빨래줄까지 횡행하고 있지 않은가.

긴 생머리여야 한다는 요구도 촌티와 쉰세대

고백으로 치부되기 십상이다.     

 

세 가지 가늘어야 한다하는 삼세(三細) 가운데 입술은 요즘 기준에

확실히 부합하지 않는 것 같다.

 

텔레비전을 보면 여자 탤런트 가운데 입술을 수술해

아프리카 토인처럼

두툼하게 하지 않은 사람이 드물 정도니까.

섹시하게 보이려고 그랬는지는 모르겠으나 유행치고는 별스럽다.    
 
한편 우리 조상들은 위와 같은 미인의 조건들을 제시해놓고도

정작 며느리를 보거나 아내를 고를 때는 척도가 좀 달랐다고 한다.

 

이를테면 엉덩이와 유방은 크고 얼굴이 보름달처럼 둥글며,

허리가 굵고 펑퍼짐한 여인을 선호했다는 것이다.

 

비디오형(型) 미인과 실용형 미인이 따로 있었나보다.


 


 

 

출처 : emillism
글쓴이 : 에밀리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