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육서의 분류
앞서 보았듯이 육서는 글자를 만드는 조자(造字)의 원리로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이 있고, 활용하는 운용(運用)의 원리로 전주(轉注), 가차(假借)가 있습니다.
象形은 "모양{形}을 본뜨다{象;코끼리 발자국에서 파생되어 '본뜨다'는 의미 생성}"는 뜻 그대로 사물(事物)의 객관적인 윤곽이나 특징을 그대로 본따 그려서 만든 글자들을 의미합니다. 해 모양{日}, 달 모양{月}, 나무 모양{木}, 사람 모양{人} 등입니다.
이집트의 상형문자가 유명하듯이 인류가 의사소통 수단으로 문자(文字)를 만들기 시작한 이래로 상형(象形)의 개념은 아주 쉽게 문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인류의 문명(文明)이 발전하게 되자 상형은 한계에 달하고 다른 개념의 문자를 생성할 요구가 생겨납니다.
指事는 뜻 풀이로 "일{事}을 가리키다{指}"라고 하듯이 상형(象形)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무형(無形)의 추상적인 개념을 상징적인 부호(符號)로 표시하여 일종의 약속으로 사용한 글자들을 의미합니다. 기준선 위라는 표시{上}, 아래라는 표시{下}, 나무의 밑 부분 표시{本}, 나무의 끝 부분 표시{末} 등입니다.
지사(指事)의 종류로 '上, 下'처럼 본래의 상징적인 의미 그대로 부호화 한 것이 있고, '本, 末'처럼 상형자에 기초를 두고 의미를 표시한 것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사(指事)의 개념 역시 한계가 있습니다. 지나친 상징적 부호의 난발은 이해, 숙지의 어려움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
회의는 "뜻{意}을 모은다{會}"는 의미로 두 개 이상의 상형자(象形字)나 지사자(指事字)를 합하여, 그 의미와 의미를 결합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방식의 글자를 의미합니다. 나무들이 모여 이룬 숲{林}, 사람의 말에 중요함은 믿음{信}, 하늘의 해와 달은 밝다{明}, 사람이 나무 밑에서 쉬다{休} 등입니다.
會意의 개념은 한자 생성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면서 진일보된 한자 발전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역시 다소 어렵게 만들어지기 시작하면서 발전의 한계가 생겨났습니다. 곧 의미와 의미가 결합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야 하고, 또한 새로운 소리(발음)까지 넣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입니다.
形聲은 "모양{形;의미 부분}과 소리{聲;발음 부분}"의 의미로 명확하게 의미부분과 소리부분을 구분해서 결합하는 방식의 글자를 의미입니다. 맑은 물의 의미에 소리 청{淸}, '옥 구슬'의 의미에 소리 민{珉} 등입니다.
形聲의 개념은 한자의 생성 및 발전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고, 엄청난 발전의 모습으로 한자의 대부분<80-90%>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곧 漢字를 만드는 원리 가운데 가장 쉬운 방법이면서 체계적인 정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바로 형성의 의미부분이 한자 이해의 핵심인 부수자(部首字)입니다.
|
전주는 "굴러서 바뀌거나{轉} 변화되어 달라지다{注}"는 의미로 본래의 의미에서 변화되어 달라지는 개념의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입니다. 곧 서로의 의미를 설명, 해석해 주는 방법입니다. '늙다'는 의미로 서로 통용되는 '老'와 '考{후에 과거부터 떠져 생각한다는 '상고하다'의 의미로 변화}', 음악{악}을 하면 즐겁고{락} 좋아한다{요}는 의미 변화의 '樂'<발음의 변화는 관계 없음> 등입니다.
轉注의 개념은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원리가 아니라 기존의 글자를 의미 변화로 활용하는 원리입니다. 곧 더 이상의 한자를 만들지 않더라도 새로운 개념을 담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쉬운 예로 자전(字典) 속의 대부분 漢字가 뜻이 몇 가지씩 나열되어 있는 것은 轉注의 개념이 많이 가미된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가차는 뜻 그대로 "빌려 쓰다{假,借}"는 의미로 기본적으로 발음이 같은 개념을 빌려쓰거나 글자 모양을 빌리는 등 외국어의 표기에 사용하고 부사어적 표현{의성어, 의태어}에도 가차의 개념을 사용합니다. '그을리다'는 의미의 발음과 연사(連詞)의 의미 발음을 통용하는 '然', 달러 화폐 모양 그대로 사용하는 '弗', 아시아의 음역 '亞細亞', 의젓하고 버젓한 모양의 의미 '堂堂' 등입니다.
假借의 개념 역시 전주(轉注)의 개념 이상으로 한자의 활용면에서 가장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곧 漢字가 뜻 글자{표의문자(表意文字)}라는 인해 발생하는 한계를 확실하게 해결해 준 개념입니다. 다시 말해 외국과의 문자적 소통이 가능하게 된 것으로 현재 우리의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많은 외래어 표기 가운데 이 가차의 개념을 사용한 용어들이 아주 많이 있습니다.
|